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간단한 모양의 로봇을 먼저 만든 뒤 실제 움직임을 보고 단점을 보완해나가는 전략을
사용
하고 있답니다. 설계와 현실 사이의 차이에서 오는 실패를 빠르게 극복하기 위함이죠 ... ...
과학난제 2.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심교수팀은 이 원리를 발전에 활용할 계획이에요.또 다른 기후변화 해결책으로 촉매를
사용
해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바꾸는 ‘인공광합성’ 기술이 꼽혀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오형석 박사는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에서 연료를 얻으면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죠. 여기서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착시로 가득한 환상의 뮤직비디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아세톤’이라는 물질에 대해 들어본 적 있나요? 보통 매니큐어를 지울 때 아세톤을
사용
하죠. 그런데 아세톤은 생각보다 위험한 물질이랍니다. 매니큐어뿐만 아니라 피부의 지방도 녹이지요. 그래서 일상생활에서 쓰는 아세톤은 희석이 되어 있어요. 아세톤의 위력이 궁금한 분은 이 영상을 ... ...
[특집] 종이작품이라고 다 종이접기가 아니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하지만 실제로 이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종이접기! 즉 ‘정사각형 종이를 단 한 장만
사용
해서 자르지도 붙이지도 않은 3차원 종이접기’를 종이접기 중에서 가장 어렵다고 평가합니다 ... ...
[한페이지 뉴스] 우리 몸의 엔진, 심장의 연료는?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영양소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다리에서는 일반적으로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되는 포도당이 주로 소비됐지만, 심장은 지방산을 주로 소비했다.다리와 심장에서 방출되는 대사 산물도 각각 달랐다. 다리에서는 주로 지방산이 방출됐지만,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에는 질소를 포함한 아미노산이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주기율표를 만들어보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과학동아와 함께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를 개최합니다.자신만의 기준을
사용
해 원소를 분류하고 각 원소의 특징을 자유롭게 표현해보세요. 복잡하고 화려하지 않아도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주기율표라면 모두 환영합니다. 시상은 중등부와 고등부로 나눠서 진행되며 수상자에게는 ... ...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 ‘F=ma’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효율적으로 계산한다.한 예로 움직임을 계산할 때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을
사용
한다. 물체를 여러 개의 작은 영역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이때 질량-용수철 모델을 적용하면, 각 영역이 용수철처럼 탄성력 있는 물체로 이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각 영역이 받는 힘을 종합해 물체 전체의 ... ...
도전!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매우 강한 영역인 것이다. 이런 개념을 정의한 펜로즈 교수는 증명을 위해 귀류법을
사용
했다. 만약 시공간에 특이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필연적으로 모순이 발생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 모순은 갇힌 표면의 존재성과 일반적인 물질 조건에서 비롯된 국소(local)적 성질, ... ...
[수학자 인터뷰] “수학은 세상에 대한 이해”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쌓이며 통계적 사고가 중요해졌고 엑셀 등 수학적 계산이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본으로
사용
하는 직종도 늘어났다. 김 교수는 “애초에 수학에 대한 관심을 이과나 문과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며 “산수부터 중대한 의사결정까지 수학이 필요한 순간이 많아지면서, 배워온 교육과정과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인공지능 학습 모델, 프로그래밍 코드 등 모든 연구결과는 누구나 연구와 사업에
사용
할 수 있도록 공개될 예정이다. 박 교수는 “인간 감정을 이해하는 미래 인공지능을 위해서는 고품질의 공공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라고 말했다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