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동물의 형태형성물질로 지목된 레티노익산은 이 물질을 양서류나 가금류의 사지형성
부위
에 주입하면 원래 발생하는 사지 외에 또다른 사지가 거울형상으로 발생한다. 식물에서는 아직 형태형성물질로 명명된 물질은 없지만 식물 호르몬이 형태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DNA분자 내의 특정한 염기 배열의 부분을 인식하고 절단한다. 제한효소가 인식하는
부위
를 발린드롬('다시다', '스위스'처럼 앞으로 읽거나 뒤로 읽거나 동일한 어구를 말한다)이라 하는데, DNA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부분을 말한다.-GAATTC - -AAGCTT- -CCCGGG- · · · · · · · · · · · ·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질병이 꼭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 예로 보통 감기바이러스는 항상 구강과 인후
부위
에서 소량으로 번식하고 있다가 숙주인 사람이 일시적으로 약해져서 면역반응이 떨어져 저항성이 약해지면 급속도로 분열, 여러 세포를 침입하여 결과적으로 점막에 이상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헤마글루티닌이나 노이라미니다제도 변이성이 높고, 그중에서도 항원으로 인식되는
부위
는 특히 잘 변화한다. 즉 숙주에 의해 인식되기 쉬운 바이러스의 외피단백질을 돌연변이에 의해 빈번하게 변화시키는 것은 면역기구로부터 공격의 초점을 혼란시키는 무기가 돼 있는 것이다.이 때문에 이들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개념이 탄생했다.최근의 초파리를 사용한 작업에서 고슴도치 유전자가 애벌레의 신체
부위
성장을 결정하는 것을 돕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세 팀의 연구진은 척추동물에서 이에 해당하는 유전자를 찾으려는 노력과 고슴도치 유전자가 동물의 성장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해 보는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마시면 약이 될 수도 있지만 지나치면 인생을 파멸로 몰고가기도 한다. 술이 신체의 어느
부위
에 영향을 주는가 살펴보자. 술을 소량 마셨을 경우에 99%의 알코올이 산화된다. 그러나 많이 마셨을 경우는 10% 정도가 숨을 내쉴 때 섞여 나오거나 소변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장기에 의해 흡수된다. 혈중 ... ...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이용해 최대한 차단한다.진동의 경우는 레일 체결장치 침목 도상 및 노반 등의 경계
부위
에 방진재를 삽입하고 레일을 장대화 중량화시키며 궤도불규칙도를 일정한도 이내로 유지해 진동발생을 최소화한다. 구조물 측면에서의 방진대책으로는 강화노반과 탄성지지교량 사용 및 터널 구조물 ... ...
반도체 레이저 장치로 암 조기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치료할 때 환자의 부담을 어떻게 줄이는가 하는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암치료 방법은 암
부위
를 잘라내는 외과요법, 화학약제로 암세포를 억제하는 화학요법, 방사선으로 암세포를 죽이는 방사선요법 등이 있다.그러나 외과치료는 건강한 부분에도 수술의 상처를 남기며 방사선요법은 정상세포까지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발생이 진행되면서 각 세포의 세포질의 분포에 차이가 생기고, 이로 인해 유전자의 활성
부위
가 달라지므로 분화는 유전자와 세포질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 ...
생활속의 '순간벼락' 정전기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유입되는 것을 방지했다.자동차에 쓰이는 전기는 차체를 통해 방전되지만 연결
부위
에 사용된 플라스틱 등에 의해 접지능력이 약해져 인체와 닿을 때 정전기 발생이 잦다. 이 현상을 줄이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배기통에 금속줄을 달아 땅으로 내려뜨려 미리 방전시키는 것.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