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를 밤에 활용한다. 낮에는 태양 복사열과 체온 사이에 간섭현상이 일어나 인체를
구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열적외선 탐지방식은 주로 태양이 없는 야간에 사용된다.미국과 러시아는 수백개에 달하는 첩보위성을 쉴새없이 쏘아올려 지구 상공에 촘촘한 위성첩보 네트워크를 구축해놨다.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철학적 근거를 둔다. 이에 근거해 생겨난 것이 오방정색과 오방간색, 그리고 잡색으로
구분
되는 독특한 색 분류체계다. 이같은 색체관은 유교와 도교사상과 어우러지면서 우리민족 고유의 색채의식에 영향을 미쳤다.우리민족의 색채의식이 일목요연하게 표현된 바로 오방색이다. 오방(五方)은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것으로 기대된다꿈은 크게 안구가 빨리 움직이는 렘수면과 그렇지 않은 비렘수면으로
구분
된다 렘수면은 잠자는 동안 90분-1백분 간격으로 되풀이되며, 이 기간에 대부분의 꿈을 꾼다 렘수면 동안 뇌파는 평소와 다른 저진폭의 톱니모양을 나타낸다엑시머레이저는 아르곤 플로라이드의 원자외선 ... ...
과학 논문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그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사진(A)을 예로 들었습니다. 사진에서 앞서가는 주자들의 얼굴은 이목구비가 뚜렷이
구분
되는데 비해(B), 뒤처진 주자들의 얼굴은 윤곽이 흐릿하게 번져 따로 떼어내면 도무지 얼굴이라고 볼 수 없을 지경입니다(C). 그런데 신기하게도 사람들은 앞선 주자든 뒤처진 주자든 모두 사람의 얼굴로 ... ...
머리 많이 쓸수록 뇌는 '웰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기억 감퇴인지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기억 장애인지 정밀한 검사를 받기 전에는
구분
하기 힘들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교육을 많이 받고 지적 활동을 활발히 하는 노인들에게서 치매 증상이 지연된다. 즉 이런 노인들은 같은 양의 신경세포 섬유뭉치와 신경반이 있어도 다른 노인들과 달리 치매 ... ...
칠레 원주민처럼 시련 이겨낸 꼬마 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언어로 ‘땅의 사람들’ 이란 의미다. 마푸치족은 땅을 고도와 환경에 따라 몇 지역으로
구분
했다. 주로 안데스산맥과 해안지대 사이에 위치한 ‘계곡의 땅’ 에서 농사를 지으며 생활했다. 오늘날 마푸치족은 소수만 남아 자신들의 땅에 대한 권리를 되찾으려고 몸부림치고 있지만, 그들의 삶의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때문에 식물의 모든 특징을 보여주지 못할뿐더러 주위의 흙이나 다른 식물 등과 겹쳐져
구분
이 안가는 경우도 있습니다.”따라서 식물학자들이 식물을 제대로 연구하는데는 이들 자료와 함께 식물세밀화도 필수적이다. 식물을 그린 그림의 역사는 동서양 모두 꽤 오래됐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부’라고 불렀다고 기술한다. 또 최근 출간된 한국고고학 사전도 무쇠솥을 두부류로
구분
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다리 3개에 바닥이 비교적 편평하며, 주변이 직선형 모양인 정이다. 정은 주둥이가 약간 넓게 퍼진 형태의 뚜껑이 솥전보다 크게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하나는 다리가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검정할 때 쓰는 방법의 하나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치료용 약과 플라시보(가짜약)의
구분
을 알리지 않고 제3자인 판정자에게만 알려 약효를 객관적으로 판단한다천체의 겉보기지름을 각도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항성의 각지름은 아무리 커도 005초를 넘는 일은 드물며 태양과 달의 각지름은 005로 ... ...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밤하늘을 수놓은 별을 보다가, 그 아름다움에 마음이 끌려 넋을 잃은 적이 종종 있다. 수많은 별들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별은 어디에 있을까. ... 흐려지는 구름형 천체로 나타난다. 중형망원경이 되면 성단의 가장자리가 개개의 별로
구분
되기 시작하여 대단히 화려한 모습으로 변신한다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