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공
공유
연관
유사
유사성
d라이브러리
"
공통
"(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기술자를 지망하는 청소년에게 주는 글 과학공부하는 마음가짐에 대해서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분야에 따라서 그 방법이 구체적으로 조금씩 다룰 수 있지만, 모든 자연과학 분야에
공통
되는 중요한 대목은 다음의 여섯 단계로 간추릴 수 있다. 1. 문제의 제기 2. 관찰과 기록 3. 과학적 법칙의 추구 4. 가설의 설정 5. 이론의 수립 6. 이론의 수정 이상 여섯가지 단계에 대하여 여러분 자신이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밝혀졌다. 이런것들을 '주자성미생물' (走磁性微生物)이라 총칭하고있다(그림4).그
공통
점을 정리하면 ①한방향(북반구에서는 북, 남반구에서는 남)으로만 향한다. ②어느것이나 마그네트솜이라는 길이 0.14미크론, 직경0.1미크론의 마그네타이트 미립자를 함유하는 작은 세포 10~40개가 고리상으로 ... ...
대표적인 봄꽃, 개나리와 진달래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수 없으므로 개꽃이라고 한다.개나리와 진달래는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지역에 피는
공통
점이 있으나 약간씩 차이가 난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골고루 피고 있으나, 함경도지역에서는 개나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며, 진달래가 특히 북쪽의 비탈면에 많이 피는데 비해 개나리는 양지바른 곳에 ... ...
우선 사용목적을 고려한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것이며, AT는 이보다 상위인 802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것이다. XT와 AT는 IBM PC라는
공통
점으로 묶여 있는데 그것은 XT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가 그 상위기종인 AT에서도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렇다면 CPU의 차이는 무엇을 뜻하는가? 실행속도와 메모리 크기와 가격이다. AT에서는 ... ...
세균을 죽이는 백혈구, 사람도 죽일때 있어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염증을 일으킨 환자에게도 발견되어 열상독성의 생성이 화상뿐아니라 심한 염증 일반에
공통
된 현상임도 규명되었다.오자와 교수는 '류코탁신은 원래 호중구가 세균등에 대비하여 세포속에 비축하고 있는 방어물질인데 심한 염증을 일으키면 과잉생산하여 혈액속으로 흘러들기 때문에 쇼크를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국내에 쓰일 학문이라면 국내박사가 훨씬 유리하지 않겠느냐"는 것이 20대 국내박사들의
공통
된 견해다.물론 자연계 학문의 성격이 '국제성'을 가지고 있고 정보시스팀이라든가 실험기자재 등이 선진국이 비해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국내 일부 대학에서 배출되는 박사는 지적 ... ...
단일 종 연구에서 인간 참여까지 생태학의 진화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전문적인 작은 가지가 세분되는 과정을 거쳐 발전해 왔는 데 반해 생태학은 하나의
공통
된 가지로 합쳐지는 여러 뿌리의 집합으로 불 수 있다. 즉 식물학 동물학 기후학 토양학에 생화학 미생물학 고등수학이 추가되었고 나아가 사회학 인문지리학 경제학 심리학이 가세하여 생태학을 구성한 ... ...
거짓말탐지기에서 DNA식별법까지 현대의 과학수사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DNA 지문은 혈액 정액 머리카락 등의 세포속에 있기 때문에 아주 적은 양이라도 분석이 가능하다.유전자지문으로 무죄확인"Dawn Ashworth 라는 15세 소녀가 영국 동부 마을에 ... 인권 보호에 입각한 수사정신이 없다면 과학수사의 참뜻은 제대로 구현될 수 없다는 게
공통
된 견해들인 것 같다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고대 중국인이 2천년이나 걸려 피와 땀과 눈물로 굳혀가며 쌓아올린 위대한 인류
공통
의 재산이다. 역사와 자연의 시련에 견뎌내며 고대중국을 지켜왔던 이 장성이 여러 학문 분야에 응용될수있는 귀중한 데이타까지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 ...
컴퓨터 자동번역 시스템 언어장벽이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이다. 이러한 피벗방식은 인간이 다른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인류
공통
의 의미표현'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하에서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피벗'을 이용할 경우 각 언어와 피벗언어간의 해석과 생성프로그램만 작성되어 있으면 각 언어별로 별도의 변환프로그램작성이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