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미래"(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1.11.28
- 삶을 누리게 하는 HT에서 꾸준히 중심 지위를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우리나라 미래의 중요한 성장동력이 될 것입니다.” 선경 교수의 ‘이것만은 꼭!’ △ 바이오 연구, 기술 위주보다 목적 위주로 재편해야 △ 과학자와 의사, 소통 위한 안팎의 노력 필요 △ HT와 함께 BT를 입체적으로 정의하라 ...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동아사이언스 l2011.10.17
- 3만5000여 종의 생물이 있는데 그중 80%에 해당하는 2만8000여 종이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이를 활용하는 해양생명공학이 각광받을 것입니다.” 1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만난 박광열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의 경우 높은 생물다양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측면이 있다”며 ...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동아사이언스 l2011.08.02
- 한국 연구자들이 근면하고 성실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연구역량을 제대로 키우려면 미래를 예측해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어떤 분야의 인력을 육성할지 전략적으로 판단할 필요도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학문의 쏠림현상이 발생해 균형을 잃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생명공학 ...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동아사이언스 l2011.07.15
- 8명 중 한 명이다. 박 회장은 “훗날 한국에 정착하려는 회원이 많다”면서 “한국의 미래에 투자한다는 생각으로 정부가 재외 생명과학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과제 지원이나 연구 성과에 따른 펠로십(장려금) 제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보스턴=서영표 동아사이언스 기자 sypyo@donga ...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동아사이언스 l2011.07.05
- 그는 “선진국은 기업이 할 일을 국가가 하지 않는다”며 “당장 이윤이 안 되더라도 미래에 큰 가치가 있는 분야에 장기적 안목으로 국가 연구비가 지원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적인 예로 김 단장은 과학계에서 세계적 학회가 열릴 때 우리나라 학자가 초빙돼 특강을 하는 일이 아주 드물다고 ...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동아사이언스 l2011.04.12
- 등 정부 부처의 주요 보직을 거친 과학기술행정 전문가다. 김 원장은 “바이오는 미래 한국의 성장 동력”이라며 “한정된 연구 지원으로 최대 효과를 내려면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정책을 끌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김 원장은 연구개발(R&D) 인력의 연구수행 역량을 강조했다. 그는 ...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동아사이언스 l2011.04.05
- 오지 않고 의대나 약대로 많이 빠져나가고 있다. 훌륭한 인재가 모이지 않는 분야에 미래가 있을 리 없다. 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제약협회나 바이오협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기업 중심으로 BT 인재 육성을 위한 기금을 마련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브라이언김(셀트리온) ... ...
-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해야동아사이언스 l2011.03.22
- 그렇습니다.” 조중명 대표이사의 ‘이것만은 꼭!’ △정부 R&D 투자는 기업 연구역량과 미래가치를 기준으로 신약 분야에 더 집중해야 한다. △장기간 책임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공무원 정책 실명제가 필요하다. △바이오에 집중 투자하고 연구과제를 통합 관리하는 ‘바이오청(廳)’ 신설을 ...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1.01.05
- 현 정부는 자연과 함께 하는 세상, 풍요로운 세상, 건강한 세상, 편리한 세상 등 4가지 미래과학기술비전을 제시했다. 이렇게 큰 비전을 제시하면 각 부처 별로 그에 맞은 R&D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R&D도 기획부터 여러 부처가 연계해 함께 해야 한다. 2012년에는 R&D 예산이 ... ...
- “제네릭 약가 보상 인하로 국내 업계 간 M&A 유도할 것”동아사이언스 l2010.12.14
- 2008년 주 이탈리아대사관 상무관 - 2008년~2010년 지식경제부 바이오나노과장 - 2010년~현재 미래기획위원회 신성장동력국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