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691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스이불 사기 전에 꼭 알아보아야 할 체크포인트는 무엇?
동아사이언스
l
2016.11.16
이유는 바로 털의 차이다. 이불에 사용되는 거위털은 거위의 가슴부터 배까지의
부위
에 있는 ‘솜털’ 과 ‘깃털’ 이다. 솜털은 공기의 함유량이 커서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다. 또한 깃털에 비해 부드럽고 복원력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같은 거위털이라도 솜털이 많이 함유되어 ... ...
페인트만 발라두면 열이 전기로 바뀐다
2016.11.15
생기는 열을 다시 전기 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 그러나 평평한 판 형태라서 다양한
부위
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페인트형 열전 소재도 개발되고 있지만 성능이 낮은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액체에 열전소자를 섞어 넣는 방식이라 밀도가 낮아 효율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손 교수팀은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정상 발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다른 뉴런과 전기화학신호를 주고받는
부위
인 수상돌기가 제대로 작동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쥐에게 시각 자극을 주면 새로 생긴 뉴런이 반응해 수상돌기에서 신호를 만들었다. 그동안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처럼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병에 ... ...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
2016.11.13
수컷 쥐들이 간지럼을 쉽게 탄다. 브렛 연구원팀은 쥐를 직접 간지럽히지 않고 특정 뇌
부위
를 자극해 간지럼을 유발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우선 쥐의 대뇌피질에 작은 전극을 삽입해 간지럼을 느끼는 동안 신경세포의 반응을 측정했다. 쥐가 간지럼을 느낄 때 촉각을 처리하는 뇌 영역인 ... ...
원전-터널 균열
부위
가 저절로 메워진다면
2016.11.11
새어 나와 빈틈을 메운다. 당시로선 획기적인 발명이었지만 캡슐이 일회용이라 똑같은
부위
에 균열이 생기면 속수무책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자가치유물질이 최근 상용화 수준에 이를 만큼 성능이 좋아지고 있다. 하라다 아키라 일본 오사카대 기초과학과제연구센터 교수팀은 화학기술을 ... ...
3천만 원 짜리 의자 ‘눈길’
2016.11.08
받는다. 탄소 섬유로 제작된 초경량 골격과 언제나 힘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부위
때문에 사람들은 무중력 상태처럼 느낀다는 설명이다. 앉아 있으나 뒤로 몸을 젖혔을 때나 공중에 뜬 느낌이라고 한다. 자동차 한 대 가격에 가까운 이 의자는 정말 값어치를 할까. 해외 네티즌들의 궁금증이 ... ...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11.04
태양의 위치 변화를 쫓아가며 최대한 많은 빛을 모으도록 설계했다. 포물선의 초점
부위
에 모인 태양빛은 광섬유 튜브를 따라서 지하로 전달된다. 이렇게 지하에 도달한 빛은 돔 형태의 전등갓에서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면서 공간을 밝힌다. 현재 로라인 랩에서는 70여 종 약 3000개체의 식물을 ... ...
“정밀도-안정성 월등… 현대 의료 한계 극복”
2016.11.04
세포 속 염기서열 21개를 미리 알려주고, 이 단백질을 사람의 세포 속에 넣자 지정한
부위
를 정확하게 잘라내는 것을 확인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가장 큰 장점은 사용하기 쉽다는 점이다. 1세대 유전자 가위 ‘징크 핑거’와 2세대 유전자 가위 ‘탈렌’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처럼 21개의 ... ...
동물 몸에 생기는 ‘줄무늬’의 비밀 풀렸다
2016.11.03
분화시키는 DNA에 결합해 멜라닌 세포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했다. Alx3가 많이 발현된
부위
는 멜라닌 색소가 적게 분비돼 하얀색을 띠었다. 호엑스트라 교수는 “약 7000만 년 전에 아프리카줄무늬쥐와 갈라진 북미얼룩다람쥐도 Alx3 유전자에 의해 줄무늬가 조절된다”며 “두 종이 완전히 독립된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이렇게 작동한다”
2016.11.02
단백질은 먼저 가이드 RNA와 결합한 다음, 가이드 RNA가 잘라야 할 DNA에 표적
부위
에 결합했을 때 다시 표적 DNA로 옮겨가 효소작용을 통해 DNA를 잘라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때 Cas9 단백질은 여러 단계를 거칠 때마다 다른 효소나 유전자와 결합하기 가장 좋은 형태로 구조를 바꾸는 것을 알아냈다.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