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경선!
최초
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최초
의 인류는 누구이며 어떤 모습을 하고 있었을까요. 그리고 언제 나타났을까요. 이 세 가지 질문은 서로 얽혀있습니다. 2012년 현재, 최 ... 이후 200년이 넘게 끊임없이 탐구된 주제입니다. 논쟁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바로 지금,
최초
인류의 모습은 다시 한번 충격적으로 바뀔지 모릅니다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좋다. 2011년 8월 경남 합천에 있는 합천호에는 특별한 태양광 발전소가 세워졌다. 세계
최초
로 호수 위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띄운 것. 태양광 발전을 하기 위해 산림을 훼손시키지 않고 넓은 호수에 띄운 것이다.뿐만 아니다. 지난 1월 경남 함안에서는 자동차 부품 센터 지붕에 1만 9000㎡ 규모로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같은 뜻이지만, 그 모양은 완전히 다르다.그렇다면 한글점자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최초
의 한글점자는 1894년 한국인이 아닌 미국인 선교사 로제타 셔우드 홀 여사에 의해 만들어졌다. 홀 여사가 처음 만든 한글점자는 4개의 점을 사용한 점자였다. 그러나 점 4개로는 한글을 모두 표현할 수 없어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품질 경쟁1955년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연구소는 탄소를 이용해 인공 다이아몬드를
최초
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탄소 동소체인 다이아몬드를 만드는 원리는 간단하다.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는 조건에 탄소를 넣으면 된다.다이아몬드와 흑연이 모두 탄소로 이뤄져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 ...
해상 풍력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가 서서히 돌자 육지에 있는 변전소에서 전기가 들어오고 있다는 신호가 잡혔다. 세계
최초
의 상업용 해상풍력 단지가 태어난 순간이었다.20년이 흘렀다. 이제는 해상풍력이 ‘대세(大勢)’라고 한다. 처음 세워진 해상풍력 발전기 1대가 하루에 생산할 수 있는 전기는 최대 450KW(킬로와트, 1KW는 1000W).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국제사회의 빠른 대응을 부추기는 이유 중 하나다.이와 관련 스위스 우주센터는 세계
최초
의 우주쓰레기 청소 위성 ‘클린스페이스원’을 5년 안에 발사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우주 쓰레기에 접근해 장착된 쇠갈퀴로 쓰레기를 수거하는 이 위성은 2009년과 2010년에 스위스가 쏘아올린 위성 2대를 ... ...
공간을 지배하는 자, 자기장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구조도 복잡하고 자기장과 전류의 세기 또한 크고 다양한 조건에서 사용되지만,
최초
의 전동기는 간단한 구조의 호모폴라 전동기였다.호모폴라는 자기장의 세기나 방향이 변하지 않고 일정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호모폴라 전동기는 일반 전동기와는 달리 닫힌 회로를 통과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어 거리에 따라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미 2004년 삼성전기에서 세계
최초
로 액체렌즈 방식으로 130만 화소의 휴대 카메라 모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② 액체로 종이를?현재 전자종이는 화면이 바뀌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그래서 입자 대신 유동성이 큰 액체로 전자종이를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는데 이를 치료하기 위해 남성호르몬을 주사하기도 한다. 샤르 에두아르는 이 방법을
최초
로 시도한 과학자다. 그는 나이가 들면서 정력이 감퇴하는 이유가 부분적으로 고환의 기능이 약해져서라고 믿었다. 어린 나이에 거세한 내시나 자주 자위행위를 하는 사람에게도 같은 증상이 나타났기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훨씬 높아진다.소형 원전은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주도권을 쥘 수 있는 분야다. 세계
최초
로 중소형 원전을 개발해 표준설계 인허가까지 마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바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스마트(SMART)’다. 표준형 원전의 10분의 1 정도의 전력을 생산하며(전기 외 수소도 생산하므로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