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다는 얘기다.하지만 이 일이 과연 가능한지는 미지수다. 빛의 굴절에 관해 400년의
역사
를 가진 스넬의 법칙이라는 게 있다. 이 법칙에 따르면 투명망토가 될 정도로 심하게 굴절이 일어나려면 빛은 진공에서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해야 한다. 빛의 최고속도를 뛰어넘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하나 있다. 1876년 2월 14일 미국의 발명가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훗날 통신 혁명을 이끈
역사
적인 전화 기술을 특허로 신청했다. 그로부터 2시간 뒤. 또 다른 미국의 발명가 엘리샤 그레이도 자신이 직접 발명한 전화 기술을 특허로 내게 된다. 같은 발명을 두고 한참을 고심을 하던 미국 특허청은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 있었다.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포티는 그의 저서인 ‘지구의
역사
’에서 “스트로마톨라이트의 기원을 추적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시간여행”이라고 비유했다.호랑이 줄무늬의 사암 산맥, 벙글벙글푸눌룰루국립공원 안에 있는 벙글벙글은 호주 내에서도 지형이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다”고 말했다.그렇기 때문에 한국 음식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고추에 대한
역사
와 문화를 연구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는 “고추의 종은 세계적으로 100가지가 넘으며 원산지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학명을 비교하는 일만으로는 어디에서 어떻게 전래가 됐는지 알기가 어렵다”며 “고추 ... ...
스티브 맥커리의 ‘진실의 순간’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 있었다. 스스로 말했던 것처럼 그는 ‘이성적인 사람은 할 수 없는 일’을 하면서
역사
적인 순간과 그것을 직접 겪는 사람의 표정, 그리고 문화적인 차이를 카메라로 찍었다.그래서 맥커리의 작품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소중한 장면이 많다. 베일과 부르카로 온몸을 감아 눈만 내놓고 다니는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걸어서 간다 산림청은 남녀노소 누구나 가볍게 걸어가면서 각 지역의 산림생태,문화,
역사
자원 등을 감상하고 체험할 수 있는 ‘산림문화체험숲길’을 전국에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총 연장 길이만 4900km. 첫 단계로 2016년까지 조성되는 이 숲길은 ‘오르는 것’이 중심이 되는 올레길(등산로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6.25~7.6을 제기하는 등
역사
지진을 놓고 산정한 지진 규모와 근거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역사
지진만으로 대지진을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 지진관측 전문가들의 견해다. 지진 규모진원에서 발생한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생한 지진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 규모가 1이 ... ...
One More Step to AIDS Cure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AIDS 영역에서는 시도된 적이 없었던 방식이다. 데이비드 호 박사는 자신의 명성과 20년
역사
에 기반한 기관인 뉴욕의 ADARC를 그의 육감에 맡기고자 한다.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 역시 그러한데, 이 재단에서는 데이비드 호 박사의 이론을 실험해보도록 700만 달러(약 84억 원)를 지원했다. 데이비드 호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짜는 것인데, 고대 문명을 꽃피우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생기고 전파됐어요. 그렇기에
역사
가 깊은 나라라면 거의 대부분 이런 매듭 기술을 가지고 있죠. 하지만 오직우리나라만이 매듭 기술을 화려하고 아름다운 공예로 발전시켰어요. 전통 매듭 공예에 여러분도 도전해 보세요."우리는 전통 매듭 ... ...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다시 말해서 분수에서 분모의 수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역사
, 그리고 실생활 속의 분수고대 이집트인은 양을 측정하기 위해 부피의 단위로 헤캇을 사용했습니다. 헤캇은 마른 곡식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로 대략 1갤런, 128온스를 나타냅니다. 헤캇을 쪼갠 일부분을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