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레이저디스크는 몇 번을 재생해도 음질에 변화가 없다. 결국 바늘 접촉식 레코드판은
역사
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오늘날 같은 인터넷 환경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도 전화와 안테나 대신 광섬유를 통한 근적외선 레이저 통신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요즘은 어떨까. 레이저를 제품에 응용하려는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다는 얘기다.하지만 이 일이 과연 가능한지는 미지수다. 빛의 굴절에 관해 400년의
역사
를 가진 스넬의 법칙이라는 게 있다. 이 법칙에 따르면 투명망토가 될 정도로 심하게 굴절이 일어나려면 빛은 진공에서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해야 한다. 빛의 최고속도를 뛰어넘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 있었다.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포티는 그의 저서인 ‘지구의
역사
’에서 “스트로마톨라이트의 기원을 추적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시간여행”이라고 비유했다.호랑이 줄무늬의 사암 산맥, 벙글벙글푸눌룰루국립공원 안에 있는 벙글벙글은 호주 내에서도 지형이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하드웨어 성능의 혁명이 아니라 콘텐츠의 혁명을 불러왔다. 애플은 아이팟과 아이폰에서
역사
에 길이 남을 성공 스토리를 남겼다. 2000년 초, 음반 업계는 범람하는 공짜 MP3로 골머리를 썩였지만, 불법 복제를 막자는 하소연 외에는 별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2001년 애플이 출시한 MP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짜는 것인데, 고대 문명을 꽃피우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생기고 전파됐어요. 그렇기에
역사
가 깊은 나라라면 거의 대부분 이런 매듭 기술을 가지고 있죠. 하지만 오직우리나라만이 매듭 기술을 화려하고 아름다운 공예로 발전시켰어요. 전통 매듭 공예에 여러분도 도전해 보세요."우리는 전통 매듭 ... ...
로봇은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 곳엔 상상 그 이상의 다양한 로봇들이 여섯 개의 방에 살고 있단다.첫 번째 방 로봇의
역사
우리 탐험은 오래된 로봇부터 최신 로봇들까지 모두 함께 살고 있는 방에서 시작돼! 19세기에 만들어진 최초의 로봇 조각상부터 엄마 아빠가 좋아하셨던 피노키오, 그리고 얼마 전에 만들어진 혼다의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정리한 법칙으로 규칙성을 파악하면 앞으로 일어날 자연 현상도 예측할 수 있다. 과학의
역사
에서는 이론적으로 예측한 일이 실제로 실험이나 관측 결과 사실로 드러난 사례가 많다.✚수학으로 자손을 예측한다 19세기 오스트리아의 식물학자인 그레고르 요한 멘델은 유전의 기본 원리를 발견했다. ... ...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다시 말해서 분수에서 분모의 수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역사
, 그리고 실생활 속의 분수고대 이집트인은 양을 측정하기 위해 부피의 단위로 헤캇을 사용했습니다. 헤캇은 마른 곡식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로 대략 1갤런, 128온스를 나타냅니다. 헤캇을 쪼갠 일부분을 ... ...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기하학 정리를 증명했다. 이렇게 어떤 발견을 해 냈다고 이름이 기록에 남은 수학자는
역사
적으로 탈레스가 처음이다. 또한 그림자의 길이를 이용해 피라미드의 높이를 구했거나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해 멀리 떠 있는 배까지의 거리를 계산했다는 등의 일화도 전한다.한편 과학자로서의 탈레스는 ... ...
생활 곳곳 숫자 4의 활약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일정이 길어지는 문제가 생기지.2 1930년에 시작한 FIFA 월드컵이 4년마다 열리는 데는
역사
적인 이유가 있어.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을 피해 열기로 한 거지. 올림픽은 2000년 전 고대올림픽이 4년마다 열렸다는 사실을 그대로 이어받았어. 고대올림픽이 열리던 당시 로마의 달력은 오차가 심해서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