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부위별로 점 179개를 찍은 뒤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캐릭터로 나타냈다. 그리고 다른 실험참가자들에게 이 캐릭터를 보여준 뒤 매력도, 카리스마, 친밀도를 점수로 매기게 했다. 그 결과 얼굴 부위의 생김새에 따라 첫 인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미간이 짧고 턱선이 날렵할수록 카리스마가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것처럼요. 따라서 저라면 두 주인공을 물리학과 커플로 하고, 이들이 중력장 장치로 실험을 하다가 어느 날 우연히 시공간을 입체로 구부려 웜홀을 만들어버렸다는 스토리를 쓰겠습니다. 그 결과 먼 미래에 있는 자신들이 이혼을 한 채 돌아와, “저 남자(또는 여자)와 결혼해서는 안 된다”는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세포’는 없다그간 뇌 과학자들은 얼굴 인식 세포의 정체를 밝혀내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학계에서는 ‘세포 하나가 얼굴 하나를 구분한다’는 학설을 가장 신빙성 있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이 세포가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다. 미국의 유명 시트콤 ‘프렌즈’에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불편하지. 그런데 기기의 무게가 몸무게의 3% 이내면 무게를 거의 느끼지 못한다는 실험 결과가 있대. 카메라 로거가 73g쯤 됐으니 내몸무게의 1.5%도 안 됐어. 그래서인지 처음에는 좀 어색했는데 시간이 지나니 괜찮아지더라고. 또 기기 때문에 내 소중한 깃털이 상하거나 빠지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 이후 프렙이 HIV 감염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여러 그룹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입증됐고, 2012년 7월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트루바다(Truvada)’라는 HIV 치료약을 프렙 약제로 정식 승인했다. 트루바다는 HIV의 ‘역전사효소’를 억제한다. HIV는 숙주 세포에 침입해 자신의 RNA를 DNA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도는 섬모의 움직임이 왼쪽과 오른쪽 비대칭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냈는데요. 또 하나의 증거는 쥐를 이용한 돌연변이 연구였습니다. 먼저 유전자 변이로 노드 속 섬모가 움직이지 못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배아는 과연 정상적으로 발달할까요, 아니면 좌우가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래도 모든 의무를 내던진 것은 아니었다. 미지의 샘플에 대한 전 세계 연구자들의 실험 결과와 추측을 전부 정리한 뒤, 질문자에게 친절히 전송해 주었으니까. 도대체 샘플을 어디서 얻었는지 여러 번 물어보았지만 질문자는 대답해주지 않았다. 어느 학회에서 관벌레 종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무게만 해도 상당하니까요.그래서 미국 항공우주국은 좀 더 개량된 식물재배장치(APH)를 실험하고 있어요. APH는 빨강, 파랑, 초록색, 흰색 LED와 적외선 빛을 이용해요. 게다가 기존 식물재배장치보다 4배 정도 강한 빛으로 식물이 더욱 빠르게 자라도록 하지요.또한 APH는 자동화된 식물재배장치로, 18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서 실험에 사용했어요. 또 발효에 사용할 미생물을 키우고 에탄올을 추출하는 등 실험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충남대학교로부터 도움을 받았답니다.Q.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저도 초등학교에 다닐 때 를 봤어요. 중학생이 된 이후 와 ...
- [과학뉴스] 흡연이 대장질환 유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밝혀지지 않았다. 배현수 경희대 한의대 교수와 김진주 경희대 약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실험쥐를 담배 연기에 4주간 노출시켜 간접 흡연 상황을 만들었다. 그 결과 폐에서 발생한 염증 면역세포(Th1)가 대장으로 이동하며, 이 세포가 분비한 단백질(인터페론 감마)이 대장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