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욕
불명예
부끄러움
모욕
망신
굴욕
억울
d라이브러리
"
수치
"(으)로 총 2,0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과 기계를 통역하는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COBOL)을 개발하였다. 60년대 중반에는 이들 FORTRAN과 COBOL의 장점을 흡수하여 개발한 PL/I와
수치
적 표현을 편리하게 해줄 수 있는 APL이 개발 되었다. 이어 60년대 후반에는 실용언어 그룹이라할 LISP가 개발 되었으며 이 언어는 종래의 순차적인 처리 중심언어로부터 병행처리가 편리하도록 디자인되었다 ... ...
간질환에서 해방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간기능검사가 대부분 정상으로 나타난다. 다만 간염이 합병되어 있는 경우만 염증
수치
가 증가하므로 피검사를 가지고 간경변증을 진단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우기 간경변증이 심하지 않으면 전혀 증상도 못느끼기 때문에 증상으로도 판별이 불가능하다.B형간염바이러스로 인한 ... ...
정보통신 집적도시가 생긴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전문분야별로 나누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과학기술 컴퓨터센터에서는
수치
의 연산처리기능이 뛰어난 초고속 수퍼컴퓨터가 필요하며 경제무역 분야는 그 분야에 맞는 대형컴퓨터가 필요하다.컴퓨터센터는 각 산업 및 개인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타를 가공처리하는 곳으로 ... ...
계산기에서 생각하고 느끼는 기계로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굉장히 많이 수행해야 하는 예를 들어보자.이런 특성을 가진 대표적인 응용분야가
수치
계산 분야이다. 중학교 정도의 수학지식이 있는 사람이면 y=x²-2의 그림표를 그림2와 같이 그릴 수 있다. 문제는 우리가 원하는 정확도를 가진 $\sqrt{2}$의 근사값을 구해보자는 것이다. 다시 말해 y=0일 때의 2개의 ... ...
최첨단 화상정보처리시스템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레이저광에 의한 전자사진 방식으로 소음없이 도면상의 가는 선이나 작은 문자,
수치
등도 충실하고 선명하게 재생된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서류 없는 사무실'을 어느 정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서울의 대기오염을 살핀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지수로서, 대기오염도를 0에서 5백 까지의
수치
로 표시한다.0에서 50까지의 값을 나타내는 대기는 '양호' 50에서 1백까지는 '보통' 1백에서 2백까지는 '건강에 유해' 2백에서 3백까지는 '매우 유해' 3백 이상은 '위험'한 것으로 평가한다.1983년부터 1984년까지 2년 ... ...
우리나라 해양발전의 내일을 연다 한국해양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해양환경 보전과 오염방지를 위한 공학적 연구를 맡고 있으며 특히 환경수리공학에 의한
수치
모델링,연안개발에 따른 해양환경모니터링,환경영향 평가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해양경제연구실에서는 해양자원, 해운항만, 해양산업의 3개 분야로 나눠 해양개발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주로 ... ...
곤충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추가될 전망이다.우리나라에서는 남북한을 합하여 현재까지 2백 48종이 알려져 있으나 이
수치
는 현재로서는 조사가 불가능한 북한 지역에서의 오래된 채집기록들을 기초로 하여 작성된 것이므로 앞으로 남북한의 나비류 연구학자들이 공동으로 채집·연구를 한다면 2종 내지 3종 정도는 더 추가될 ... ...
일본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외국인 학생은 일본인들의 사회적 관습에 적응해야 한다. 크게 술에 취하는 것은
수치
가 아니라 오히려 미덕이다. 취중의 실수는 다음날 깨끗하게 용서된다. 일본인은 종종 자기의 생각을 그대로 드러내 말하지 않는다. 질문을 받으면 사람들은 곧잘 자기의 생각과는 달라도 대다수 사람의 의견에 ... ...
한반도는 어떻게 형성됐나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태백산맥을 알아보자. 10대1의 경사도를 보이는 태백산맥 태백산맥의 특징은 '10대1'이란
수치
로 나타낼 수 있다. 서울서 대관령 꼭대기까지는 직선거리로 약2백㎞인 것.남미의 안데스산맥은 이것이 15대1이나, 습곡산맥으로 돼 있다. 이 습곡산맥은 나즈카판이라는 대양암판이 남미서해안 아래로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