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고막이 없어도 입이 그 역할을 충분히 대신할 수 있다는 소리다.마지막으로 입을 손 대신 쓰는 동물을 소개한다. 이런 동물은 많지만, 하와이에 사는 한 망둑류 물고기는 좀 다르다. 이 물고기는 입을 이용해 수직에 가까운 폭포 절벽을 기어오른다. 입은 하나인데 절벽을 기어오를 수 있을까?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밝혀지면서 다른 사람의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받을 수 있게 됐다. 이 결과 외과의사의 손은 환자의 뱃속은 물론 이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심장과 폐 등의 흉강, 그리고 대뇌가 들어 있는 두개강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됐다. 근대 신경외과, 흉부외과, 그리고 이식외과도 함께 발전하게 됐다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업 분야 설계 검토 참여 등, 우리나라의 굵직한 항공기 사업은 거의 대부분 그의 손을 거쳤다. 최근 화제가 된 변신 비행기 ‘스마트무인기’도 마찬가지다. 최근 개발에 성공하고 KAI가 제작 판매하고 있는 4인승 항공기 ‘나라온’ 사업관리 역시 이 단장의 역할이었다. 이 단장은 자신이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손잡이가 달리고 당기면 열리는 문’을 설계했다면 조금만 생각을 달리해 ‘왼쪽에 손잡이가 달리고 밀면 열리는 문’을 만들어 해커의 침입으로부터 전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학창시절에는 ‘수학의 쓰임새’에 대해 궁금했었는데, 막상 사회에 나와 맡겨진 ... ...
- 학문의 즐거움을 설파한 히로나카 헤이스케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무엇이고, 형이상학은 또 왜 나오는지 생각해 보자. 붓으로 큰 종이에 글을 쓰는데 손을 떼지 않고 한 번 지난 곳을 다시 지나지도 않고, 또 급하게 방향을 바꾸지도 않으면서 쓰는 상상을 해보라. 부드러운 그림이 될지언정 의미를 담은 글씨가 나오기는 힘들 것이다.붓글씨에서 붓이 두 번 지난 ...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않았는데, 어떡하죠?”그때였다.“저기….”하루가 어쩐지 부끄러운 표정을 하며 작은 손거울을 내밀었다.“응? 설마 거울의 방에서 갖고 나온 거야?”“응. 방을 나오다가 너무 예뻐서 들고 나왔는데, 남의 물건을 들고 온 것 같아 어쩐지 부끄러워서 너희들에게 말을 못했어.”“오! 하루! 한 건 ... ...
- 세상이 나를 벗긴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사람 중에서 단 한 사람을 찾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깨닫게 된다.사람들이 단 한순간도 손에서 놓지 않는 스마트폰은 어떨까. 눈에 보이지 않지만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나르기 위해 수없이 많은 전파가 오가고 있다. 그 수많은 전파는 어떻게 자신에게 명령을 내린 스마트폰을 정확히 찾아갈 수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이내에 있어야 한다. 쉽게 말해 돌들이 손을 뻗고 있다면, 적어도 6칸 이내에 있어야 서로 손을 잡을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이유로 첸 교수는 d의 최댓값이 6이라는 것을 고려해 지수의 식을 정했다. 한편 우리나라 컴퓨터 바둑학자인 이병두 교수는 또 다른 세력함수를 제안했다. 이 교수는 두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한다”며 “주변에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어른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자. “나는 중2병을 졸업했을까?” 허세는 청소년만 부리지 않는다. 성인 역시 때때로 허세를 부린다. 허세는 나르시시즘, 즉 자아도취에서 나온다. 중2병 역시 자아도취와 관련이 있다.2009년 ‘나는 ... ...
- 산호바다엔 뜨거운 남자들이 산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특히 산호초가 끝나는 부분에서 급격히 수심이 깊어지며 푸른색으로 가득한 심해가 손짓하며 기자를 유혹하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산호에 대해 착각하기 쉬운 상식 하나. 산호는 돌처럼 딱딱한 식물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동물이다. 그런데 식물처럼 산소를내뿜는다. 어떻게 된 걸까?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