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자가재생성, 지방이나 뼈 조직으로 분화되는 능력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이 줄기
세포
를 일정한 모양의 틀에 붙여 배양하면 원하는 치아나 턱뼈 모양을 만들 수 있다.이 연구는 손상된 치아로 인한 환자의 고통과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정 교수는 “이 기술을 다른 신체 장기의 재생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충북대 수의학과 강신영 교수는 “단백질 구조가 변형되면 숙주의
세포
표면에 달라붙을 수 없다”며 “이런 변형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한편 단백질의 안정성은 용액의 산성도에도 민감한데 산성이나 염기성에서는 쉽게 변형돼 감염력을 잃는다. ... ...
[과학뉴스] AI 안 걸리는 유전자 변형 닭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사이언스’ 1월 14일자에 게재됐다.바이러스는
세포
내에 들어가 자기 복제를 하면서 증식한다. 그런데 이번에 개발한 유전자 변형 닭에서는 AI바이러스를 복제하는 효소가 가짜 바이러스 게놈을 자신의 것으로 착각해 달라붙었다. 그 결과 AI바이러스의 진짜 ... ...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박사팀은 러시아 과학자들이 보관하고 있는 매머드 조직에서 비교적 보존이 잘 된
세포
핵을 골라 추출한 후 아프리카코끼리(Loxodonta africana)의 난자에 심어 아기 매머드의 배아를 얻을 계획이다. 그 후 일본 킨키대 미노루 미야시타 교수팀이 배아를 아프리카 코끼리 자궁에 착상시켜 매머드를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뱃살, 허벅지 등 자기가 갖고 있는 지방을 추출해 사용한다. 전 교수는 “최근 지방줄기
세포
를 이용한 필러 시술도 있다”며 “아직 연구 단계일 뿐이며 허가는 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성형 부작용 77% 불법 시술 탓보톡스나 필러가 부작용이 적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쁘띠성형을 받고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정맥이 막히면서 발기가 된다. 알고 보니 이 물질은 심근
세포
의 PDE3보다 음경근육
세포
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는 PDE5의 작용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즉 PDE5에 달라붙어 PDE5가 cGMP를 분해하는 걸 방해한다.화이자는 이 물질을 비아그라라는 상표명으로 1998년 시장에 내놓았고 ‘고개숙인’ 남자들의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카멜레온과 애벌레가 보호색을 사용하는 방법이 다르다. 카멜레온은 몸에서 색을 띠는
세포
가 환경에 예민하게 반응하면서 수시로 색깔을 바꾼다(생리적 체색 변화). 그래서 색소를 새로 만들어내지 않아도 짧은 시간에 색소 위치를 옮겨 몸 색깔을 바꾼다.애벌레들은 몸 색깔을 바꾸려면 비교적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같은 생화학적 방식을 이용하는 유사성을 갖는다. 반면
세포
막과
세포
벽의 다른 구조와
세포
내 소기관의 유무와 같은 차이를 갖는다. 생물속생설과 자연발생설미생물의 존재는 관찰 이전부터 예견돼 왔다. 로마의 철학자 루크레티우스와 의사인 프라카 스토로는 눈에 보이지 않는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물은 오랜 기간 동안 진화를 거쳐 발전해왔다. 그 때문에 무척 견고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생명현상을 잘 들여다 보면 그 안에서 의외의 ... 보시려면?Intro. 국회의원 인맥 찾아내는 소셜 사이언스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 ...
콜레라균 잡아내는 특별한 설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견했다.콜레라균은 몸속에 들어오면 단백질 독소를 만드는데, 이 단백질 독소는
세포
표면에 있는 ‘GM1’이라는 당지질을 수용체로 삼아 결합한다. 덱스트란이 GM1과 같은 작용을 하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 원인을 “GM1에 있는 탄화수소 결합과 덱스트란의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