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성
상관
d라이브러리
"
비교적임
"(으)로 총 2,555건 검색되었습니다.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초승달에서부터 보름날에 이르기까지 월령에 따른 달여행을 즐겨보자.우리가 밤하늘에서 유일하게 맨눈으로 표면을 볼 수 있는 천체가 달이다. 또한 달은 우리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약 28일의 주기로 모양을 달리하기 때문에 시간을 구분하는 척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또한 인간의 향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울릉도는 한반도의 신생대 제4기 화산활동을 대표하는 섬으로 다섯번에 걸친 분화를 통해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었다.매년 여름 겨울방학마다 (중)고교 과학교사들에게 생생한 현장탐사의 기회를 제공해온 '전국고교교사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지난 8월13일부터 17일까지 화산섬의 보고인 울릉도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공학자들은 지난 40여년간 컴퓨터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그 결과 전산실을 가득 채운 초기의 컴퓨터에서 데스크톱 랩톱 노트북을 거쳐 손바닥에 올려 놓는 팜톱에 까지 이르렀는데…컴퓨터 초창기에는 4백50평쯤 되는 홀을 가득 채운 거대한 에니악(ENIAC)을 에버든 병기시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달에 천문대를 세워 우주를 관측한다면 우주생성의 비밀이 손쉽게 풀릴지도 모른다.달의 구조와 기원을 규명하고자 추진되었던 아폴로 계획이 지난 1969년 수억 지구인들이 시청하는 가운데 역사적인 유인착륙과 월면보행을 이룩하면서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었다. 이 계획이 종료된 1972년까지 수많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제 32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한국의 수학두뇌들을 이끌고 참가한 대표단 단장의 참관기수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을 조기에 발굴해 격려하고, 저변 확대를 통한 수학발전을 꾀하기 위해 시작된 IMO(International Mathematlcal Olympiad)가 스웨덴에서 올해로 32회를 맞았다. 대회기간중 각국의 수학교육방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울릉도의 다양한 지질구조를 정리해 교과서의 '화산'편 더 풍부히 했으면…사회 지난 4일간 화산섬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 울릉도를 둘러보시느라 다들 수고가 많으셨습니다. 그동안 관찰한 것들이 워낙 많아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지질학적인 접근과 지형학적인 접근 두가지 방향으로 얘기를 ... ...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일본 다마가와 대학의 조니온 오사카씨와 같은 화산학자가 하는 일이란 화산이 언제 폭발할는지를 미리 예측하는 것이다.화산은 흔히 생명력을 잃은 사화산처럼 보인다. 일단 폭발과정이 끝나면 분화구에 용암이 집결되어 응고된 상태로 마개를 형성함으로써 다시는 폭발이 없을 것처럼 보이는 것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열대우림지역의 벌채만으로도 매년 4천~6천종의 생물이 사라지고 있다.필자는 1973년 제주도 서귀포에 있는 천지연폭포 상류에서 그때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새우류 한종을 채집 했다. 자세히 살펴 보니 틀림없는 신아종(新亞種)이었다. 그래서 1976년에 학명과 제주새뱅이라는 우리말 이름을 붙여 학 ... ...
탄소원자핵의 12개 핵자가 기본단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방사능붕괴의 결과 생성된 알파입자의 존재가 문제해결의 실마리가 됐다. 원자핵은 우리가 이제까지 생각한던 것 이상으로 복잡할 가능성이 있다. 핵자(核子)로 불리는 원자핵 속의 양성자와 중성자는 지금까지 껍질로 알려졌지만 오히려 클러스터(cluster) 중에 배열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 된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장소이동, 활동억제, 물리적 피서법, 생리적 피서법을 터득한 동물들은 그리 힘들이지 않고 더위를 이긴다.북극권의 북극여우(Alopex lagopus)는 내한성이 강해서 -50℃ 쯤은 가볍게 견디고 실험적으로는 -80℃에도 별 이상이 없었다고 한다. 남극의 팽권도 내한성이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더구나 이 새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