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동그라미
모양
의 숫자 ‘0’, 그 뿌리는 3세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보들리안도서관 연구팀은 점 중앙에 작은 구멍이 뚫린
모양
새를 가진 ‘0’이 적힌 인도 기록물인 ‘바크샬리 필사본’의 집필 연대를 탄소 연대 측정법으로 추정했습니다. 그 결과 224년부터 383년 사이에 만든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로써 기호 0의 기원이 500년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설계한 ‘꼬인 종이 타워’예요. 트위스터는 아래에 보이는 그림➌과 같은 다면체
모양
의 층이 겹겹이 쌓여서 탑을 이루는 형태예요. 정육각형을 상상해 보세요. 그 위에 여섯 개의 피라미드를 가로로 눕혀요. 그 다음 정육각형 각 변에 피라미드 6개 각각의 밑면의 한 변을 대응시켜 둘러싸요. 이때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가벼운 기하학적 구조인 ‘트러스’를 이용해 로봇을 설계했어요. 트러스 구조는 삼각형
모양
을 이어 붙여 만들어요. 다리나 건축물 등에 널리 쓰이는 구조로 쓰는 재료의 양에 비해 큰 무게를 견딜 수 있습니다. 거대로봇 대결! 승자는?미국 기업 메가보츠는 최근 자신들의 기존 거대로봇 ‘마크-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고개를 더 내밀고 주위를 두리번거렸다.‘이러면 안 되는데….’ 고개를 너무 내민
모양
이었다. 총을 든 남자 한 명이 하림을 보고 외쳤다.“거기 너 일어서! 움직이지 마!”그 소리를 들은 대장이 고개를 돌려 하림을 보았다.“너였군. 도망친 줄 알았는데, 어차피 네가 할 일은 끝났으니 구경이나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신축성 있는 소재의
모양
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며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는
모양
을 빠르고 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3일자에 실렸다.doi:10.1126/science.aan562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수 있는지부터 테스트해볼 거예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타일 뭉치에 있는 정사각형
모양
의 16개 타일 중 2개만 나머지와 색이 다릅니다. 눈을 크게 뜨고 여섯 개의 타일 뭉치에서 색이 다른 타일을 두 개씩 골라보세요. 타일 뭉치 위에 적힌 ‘색 유사도’는 두 타일이 다른 타일과 색이 얼마나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올록볼록한
모양
이 반복되는 신비한 파도를 본 적 있나요? 이 파도는 ‘해빈 커습(beach cusps)’이라는 현상이랍니다. 해빈 커습은 보통 모래나 자갈이 많은 해안가에서 폭풍우가 몰아친 뒤에 나타나요. 바닷물이 해변에 부딪히면 움푹 들어간 곳에서부터 볼록 나와 있는 지점으로 물이 모이죠. 그렇게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두개골 화석.어금니가 없는 걸 볼 수 있다.용각류의 이빨은 갈퀴와 비슷한
모양
이며, 매우 약하고 듬성듬성 나 있어요. 식물을 긁어서 입 안에 빠르게 넣는 역할만 할 수 있었지요. 또 어금니가 없기 때문에 식물을 잘게 씹을 수도 없었답니다.용각류 공룡은 어금니를 대신할 방법을 찾아야 했어요. 그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구슬 옥(玉=王)’에 ‘놀라서 볼 경(睘)’이 더해져 만들어진 한자예요. 옷에 달린 고리
모양
의 옥 장식을 뜻한답니다. 이 옥(玉) 장식은 사람이 눈여겨볼 정도로 중요한 장식품이기 때문에 ‘놀라서 볼 경(睘)’이 쓰인 거예요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건전한 조직 문화와 연구개발 문화를 갖게 된 데는 배리시 단장의 공이 컸다. ‘ㄴ’자
모양
인 라이고는 중앙에서 발사한 레이저가 90도를 이루는 두 팔 끝까지 갔다가 반사돼 다시 돌아오도록 설계됐다. 이렇게 돌아온 두 개의 레이저 빔을 합성하면 간섭 현상이 생긴다. 이를 이용해 두 팔의 길이가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