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1,526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크면서 저절로 몸에 흡수돼 사라진답니다.의료 분야에서는 3D프린터를 아주 활발하게
이용
해요. 이미 사람마다 다른 귀나 치아 모양을 고려해 개인에게 딱 맞는 보청기와 보조치아를 만드는 데 널리 쓰이고 있어요. 일본에서는 살아있는 세포를 3D프린터로 쌓는 데 성공했고, 독일에서는 3D프린터로 ... ...
꼭꼭 숨어라! 편광 조절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그럼 너는 어떻게 숨었던 거야?지금까지 알려진 최고의 위장술은 껍질을 거울처럼
이용
해 햇빛을 반사하는 ‘거울반사’예요. 새 같은 포식자들의 눈을 속일 수 있어요. 하지만 이것도 제가 쓰는 방법보다는 한 수 아래랍니다. 거울반사는 해가 머리 위에 떠 있는 정오에만 효과가 좋거든요.저는 ... ...
쉿…! 배아 세포가 자라고 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시간이나 크기가 제각각이라 관찰하기가 굉장히 어려웠지요.켈러 교수의 새 기술을
이용
하면 배아 세포가 조직으로 자라는 시간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과정을 계속 관찰할 수 있어요. 세포의 깊은 곳까지도 볼 수 있지요. 연구가 계속 이어지면 지금껏 감춰져 있던 생명의 새로운 비밀을 벗겨낼 수도 ... ...
명예탐정, 사라진 ‘꿀벌’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많은 꿀벌을 ‘되찾게 하는 것’으로 확대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스마트폰을
이용
한 꿀벌탐사 방법➊ 스마트폰에 ‘GPS memo’ 앱을 설치한다.➋ 꿀벌이 있는 장소를 찾는다.➌ 꿀벌의 사진을 여러 각도에서 찍는다.➍ GPS memo 앱에서 ‘latitude’와 ‘longitude’ 두 가지 GPS정보를 확인한다.➎ ... ...
지방세포 살빼기로 비만 탈출! 어린이 다이어트 백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
운동은 정신건강에도 좋다.8 저녁식사 후 최소한 20분 이상 움직인다.9 계단과 대중교통을
이용
한다.10 스마트폰과 TV, 컴퓨터를 멀리 한다.특집 한 걸음 더 다이어트 일기 쓰기!이제 건강하게 살을 빼는 방법을 알았으니 실천할 일만 남았어요! 규창이는 예전에 했던 ‘음악(에 맞춰) 줄넘기’를 다시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
과학동아
l
201312
김치에 많은 젖산은 122℃로 가열하면 젖산염으로 변해 신맛이 사라진다. 이런 성질을
이용
해 신맛을 줄이고 새로운 양념을 넣기 위해 보통 신 김치를 김치찌개나 김치찜 등으로 끓여 먹는데, 이 때 몸에 좋은 유산균이 다 죽을까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사람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유산균의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
과학동아
l
201312
사람이 누구인지도 제각기 달랐다.19세기에 들어서는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포경수술을
이용
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의사 루이스 세이어는 마비 증세를 보이는 소년을 치료하면서 포피가 꽉 조이고 있는 귀두 때문에 과민증이 일어난 것을 원인으로 생각하고 포경수술로 치료했다. 이 주장은 ... ...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
과학동아
l
201312
효소를 넣기도 해요. 약 5000년 전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이 발견한 것도 키모신을
이용
한 방법이에요. 키모신은 소나 양, 염소의 위장에서 나오는 단백질 소화효소예요. 키모신은 우유단백질 중 한 종류, 즉 카파 카세인 단백질만 공격해 잘라낸답니다. 이 단백질은 카세인이 뭉쳐지는 현상을 방해하기 ...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
과학동아
l
201312
종종 난간을 뚫고 한강으로 떨어졌던 것이다. 김 교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
해 차도와 난간 사이에 방호울타리를 설치하면 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서울시에 제안했다.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사고가 현저히 줄어들어 다른 교량에도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우리 ... ...
[시사] 수학자의 예술혼, 세계문화유산으로 피어나다!
수학동아
l
201312
현의 길이의 비를 건물 방의 치수로 사용했다. 즉 1 : 2/3 : 1/2 = 12 : 8 : 6을 비례식으로 많이
이용
한 것이다.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현악기에서 협화음을 내는 현의 길이의 비에 주목하고 음계를 만들었다. 그 결과 두 현을 튕겼을 때 나오는 두 음은 현의 길이의 비가 1:1이거나 2:3, 1:2이면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