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스페셜
"
반응
"(으)로 총 2,18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점점 더 벗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일주리듬, 즉 하루 24시간 주기로 생체시계가
반응
해 나타나는 생리적 패턴은 해가 뜨고 지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 크게 의존한다. 유럽이나 북미처럼 시차가 상당히 나는 곳을 가면 며칠 동안 꽤 힘든데 바로 생체시계가 그곳의 낮과 밤에 맞춰 재조정되는 데 시간이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찾아봐야 합니다. 그렇게 균주를 개발했다고 하더라도 산업적으로 사용하는 대규모
반응
기에서 배양해 보고 어느 정도의 수율을 확보할 수 있는지도 확인해 봐야죠.” 휘발유 생산 균주가 개발됐다 하더라도 해결할 과제는 또 있다. 바로 미생물의 먹이다. 현재 바이오연료 생산의 원료로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극과 행동 사이의 정확한 관계를 알 수 있다. 빛에
반응
하는 신경세포는 임상적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손상된 망막세포를 대체하여 인공망막을 이식할 수도 있으며 신경세포 손상으로 운동기능을 상실한 환자들의 근육에 이식하면 빛 자극을 이용하여 ... ...
우린 억울해! 새 대가리의 역습
KISTI
l
2014.09.30
먹었다. 놀라운 일은 다음에 벌어졌다. 똑같은 상황에서 펴진 철사를 주고 까마귀의
반응
을 본 것이다.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는 부리로 철사를 구부려 갈고리 모양으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양동이의 먹이를 꺼내 먹었다. 과학자들은 야생동물 중 가장 똑똑하다는 침팬지도 인공 재료로 갈고리를 만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나온다) 반감기가 약 5730년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소14는 대기중에서 산소와
반응
해 이산화탄소가 되고 식물에 흡수된다. 결국 살아있는 동식물은 대기중의 탄소14 비율을 갖고 있지만 사체가 된 뒤에는 대기와 더 이상 탄소교류를 하지 않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14의 비율이 줄어들게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⑦] 생물의 에너지, 바이오매스
2014.09.22
온도에서 1시간 정도 열분해하는 과정을 말한다. 숯을 만드는 탄화보다 낮은 온도로 짧게
반응
시키기 때문에 반탄화라고 부른다. 반탄화된 바이오매스의 무게는 이전 무게에 비해 30% 정도 줄어들지만 열량은 10% 정도 밖에 줄어들지 않아, 에너지 밀도는 원래 바이오매스보다 약 30% 정도 증가된다.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실험을 할 때는 하얀 실험복 대신 앞치마를 두른다고 한다. 말도 안 되는 얘기라는 주위
반응
에도 5년 간 꿋꿋하게 실험을 해온 오보카타 박사의 집념도 놀랍지만, 갓 서른인 여성과학자의 대담한 가설을 믿고 실험실을 맡긴 리켄의 선배 과학자들의 관용과 혜안이 더 놀랍다.” ● 당사자는 결백 ... ...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
채널A
l
2014.09.15
없기 때문에 통증을 못 느낍니다. 의료진들은 삽입된 위치가 정확한지 뇌와 손의 실시간
반응
을 확인하기 위해 바이올린을 켜게 했습니다. 그랬더니 실제로 수술 초반 심하게 떨리던 손이 점차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작년에는 같은 이유로 수술 도중 기타를 연주한 환자도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
IBS
l
2014.09.04
개척했다. 클라미도모나스라는 단세포 녹조류는 빛을 쬐어주면 빛을 향하는데, 청색광에
반응
하는 이온채널이 있고, 채널로돕신이라는 분자가 빛을 감지해 전류를 만들어낸다. 다이서로스 교수팀은 채널로돕신의 유전자를 마우스 신경세포에 넣어서 빛만 주면 신경세포가 활성화되고 이를 이용해 ... ...
[Green Lab
동아사이언스
l
2014.08.27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전해질 용액 내 아연-브롬의 농도가 높고, 한 번의
반응
에 2개의 전자가 생성되어 에너지밀도가 높은 것도 큰 이점이다. 결과적으로 VRFB에 비해 시스템의 부피를 작게 만들 수 있다. 연구실에서 본 스택 등 전지의 크기가 생각보다 작은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었다.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