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56건 검색되었습니다.
노화한 피부세포 다시 젊게 만드는 '세포 역노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PDK1’는 단백질 합성과 세포 성장을
조절
하는 엠토르(mTOR)단백질과 면역 유발 물질인 사이토카인 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NF-kB)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연구팀은 사람의 진피 섬유아세포와 이를 이용해 만든 입체 인공피부를 이용해 PDK1 ... ...
ETRI, 가상현실 게임 시 나타나는 멀미 줄이는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11.26
'VR 멀미 저감용 콘텐츠 저작 도구'를 활용하면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VR 요소들을 실시간
조절
, 멀미를 줄일 수 있다. 수작업으로 조정할 필요 없이 레벨 1∼5까지 정량적인 지표를 바탕으로 콘텐츠 조정이 가능하다. 이밖에 체감형 VR 장치에서 멀미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탑승형 체감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잘 달라붙게
조절
했다. 이런 원리로 물 분자 흡착 용량을 높였고 물 분자가 붙는 강도를
조절
해 60~90도의 온도에서 물 분자를 뱉어내는 성질을 갖게 했다. 연구팀은 MOF를 활용한 가정용 냉난방 시스템의 상용화에 앞서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사한 기술로 MOF를 활용한 ... ...
혈액세포 만드는 '조혈모세포'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연구로 히스톤 샤페론 단백질 Supt16h가 특정 기관과 세포 발생에 필수적인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한다는 점과, p53을 매개로 한 노치 신호경로가 조혈줄기세포 발생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혔다”라며 “조혈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학 치료와 백혈병 등 혈액질환 치료에 돌파구를 열 것”이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일 분자 먼 거리 전송하는 '분자 전신'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75배인 150nm의 거리까지 정확하게 수송하는 데 성공했다. 분자의 이동 거리는 0.1nm 단위로
조절
할 수 있었고 속도도 초당 0.1mm 이상으로 빨랐다. 연구팀은 전기장을 거는 두 개의 탐침을 놔 분자를 한 탐침에서 다른 탐침으로 전송 ‘분자 전신’에도 데도 성공했다. 송신 역할을 하는 탐침이 분자에 ... ...
김빛내리 교수, 코로나바이러스 성장 단백질 연구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단백질 복합체 분석도 수행한 결과 바이러스 RNA와 직접 상호 작용하고 바이러스 성장을
조절
하는 단백질을 규명했다. 김빛내리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현재 진행중인 이번 연구에서 확인한 바이러스 전사체 복합성과 단백질의 기능 규명은 사스-CoV-2 바이러스의 수명와 병원성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 ...
[소재의 미래]⑴서로 다른 물질 만나는 '경계'에서 소재 미래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용량의 84%를 유지하는 양극소재를 개발했다. 김 단장은 “경계면에서의 에너지를
조절
해 기존보다 강도는 10%, 연성은 250% 끌어올린 알루미늄 합금도 개발해 중소기업에 이전했다"며 "경계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찾아내 특허를 내고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이브리드 소재는 ... ...
'아시아 미세먼지·대기오염물질 감시' 천리안2B 영상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지역을 하루 6~10번씩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데 유리하다. 구름 등이 짙게 껴도 시간대를
조절
해 촬영할 수 있다. 해외에서 발사한 기존 저궤도 위성의 경우 많아야 하루 한 번만 촬영이 가능해 원하는 지역을 충분히 촬영하지 못하고, 일부 지역이 촬영 지역에서 빠지는 경우도 많았다. 또 구름이 많을 ... ...
부정논문 감시 사이트 서울대 연구자 논문 데이터 부적절 사용 의혹 추가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제기된 2002년 셀 논문의 그림(왼쪽)과 이듬해 PNAS의 논문 그림이다. 이미지의 노출을
조절
하면 비슷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두 논문의 제1저자인 백성희 서울대 교수는 아날로그로 촬영된 원본 이미지가 모두 있으며 이를 전문 일러스트레이터가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일부 이미지가 잘못 들어간 ... ...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전문가들 예측 웃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훨씬 낮다. 이 팀장은 “일일 확진자 수에 따라 방역당국이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
조절
등 방역 대책을 세우기 때문에 시나리오대로 흘러가지는 않는다”며 “과거 데이터를 토대로 예측한 시나리오를 참고해 적절한 방역대책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