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3,9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극도로 압축돼 아주 작은 공간에 큰 질량을 포함한 천체다.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
조차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중력이 강해 어두울 것으로 예측돼 ‘블랙홀(검은 구멍)’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왔다. 어두운데다 극도로 밀집해 크기가 작고 거리는 멀어 그 동안 아무도 지상에서 블랙홀을 직접 ... ...
하얀 치아 만들려다 이 삭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카바마이드 퍼록사이드 성분의 미백제를 사용하거나, 치과에서 미백제와 함께
빛
이나 열을 이용한 미백치료를 받는다.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법랑질은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한 곳이다. 겉으로 보기엔 매끈해 보이지만 사실은 미세한 구멍이 숭숭 나 있다. 커피와 홍차를 자주 마시면 쉽게 ... ...
[블랙홀 첫 관측]블랙홀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거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 블랙홀은 X선 플레어를 방출한다. 네이처 블랙홀은 모든
빛
을 끌어당기는 강한 중력 때문에 시각적으로 볼 수 없다. 대신 블랙홀의 강한 중력이 주변의 별과 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만약 별이 우주 속 특정 지점을 돌고 있는데 여기에 영향을 ... ...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거대은하 M87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을 관찰한 것이다. M87의 사건의 지평선이 왜곡된
빛
에 의해 드러나는 블랙홀의 그림자보다 2.5배가량 작은 것을 밝혀내는 등 블랙홀의 정체에 한 걸음 다가섰다는 평이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며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보인 이래로 ... ...
[블랙홀 첫 관측]실루엣 드러낸 ‘블랙홀’ 우주 진화 설명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존재를 예측한 사건지평선의 ‘실루엣(그림자)’을 직접 관측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빛
조차 흡수해 직접 관측할 수 없는 블랙홀의 사건지평선은 블랙홀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넓은 경계지대를 말한다. 물질이 사건지평선을 지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갈 때 일부는 에너지로 방출된다. 호킹 박사가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충돌하는 두 블랙홀이 주변에 중력파를 발생시키는 모습을 그렸다. 중력파는 그 동안
빛
을 통해 관측하기 어려웠던 블랙홀 연구에 새 돌파구를 열었다. 사진제공 NASA 2015년부터는 블랙홀끼리의 충돌로 생성되는 미세한 시공간의 일렁임인 ‘중력파’ 검출에도 성공하면서(최초 발표는 2016년),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극도로 압축돼 아주 작은 공간에 큰 질량을 포함한 천체다.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
조차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중력이 강해 어두울 것으로 예측돼 ‘블랙홀’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왔다. 어두운데다, 극도로 밀집해 크기까지 작아 그 동안 아무도 블랙홀을 직접 관측하지 못했다. 영화 ... ...
[과학게시판] KIO-Dream 해양과학교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이벤트가 준비돼 있다. 강연은 수소에너지와 자율주행차를 주제로 이뤄진다. 공연은
빛
과 음악, 영상이 어우러진 과학문화공연 '사이언스 in 뮤직'이 준비돼 있다. 부스는 전국 과학동아리에서 50개를, 연구기관 및 교육단체에서 15개를, 과학관에서 10개를 운영한다 ... ...
실명위험 '황반변성'…놓쳐서는 안 될 경고신호
연합뉴스
l
2019.04.10
있어 레이저 치료가 적당치 않은 경우에 사용한다. 일단 약을 주사한 후 레이저
빛
을 쏘이면 활성화된 약이 신생혈관을 파괴하는 원리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치료는 혈관 형성을 저해하는 항체를 눈에 주사하는 방식이다. 다른 치료법보다 탁월한 치료 효과를 보이고 시력 유지는 물론 일부 시력 ... ...
김치 ‘매운맛’ 정도, 분자 수준에서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단일 분자 정량화가 가능하다. 전반사형광현미경 기술은 굴절률이 다른 두 경계면에서
빛
의 입사각이 임계값보다 클 때 발생하는 전반사의 반대면에 생기는 전자기장에서 형광을 검출하는 기술이다. 단일분자 수준까지 검출이 가능한 현미경 기술이다. 연구팀은 김치 내 캡사이시노이드를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