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뉴스
"
날
"(으)로 총 4,6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사원장 "월성1호기 폐쇄 타당성 시한내 발표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특별한 사유가 있을 경우 2개월 내에서 감사기간 연장이 가능하다. 최 원장은 이
날
"이 사안은 과거 국회가 요구하는 감사 사항에 비해서 감사 내용이 복잡하다"며 "감사기간을 연장했는데 이를 지키기 어려운 점에 대해서는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건 초기 단계에서 제료 ... ...
날
수 있을 만큼 가벼운 연료전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김형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수소연료전지연구단 책임연구팀은 가습장치가 필요없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개발했다. 연구에 참여한 채지언 KIST 박사과정생과 이소영 KIST 선임연구원이 연구팀에서 개발한 이중교환막 연료전지 성능을 측정하고 있다. KIST 제공 연료전지에서 상당한 무게를 차지하 ... ...
"병원 공포증, VR·AI로 극복할 미래 그려요" 미래사회 시나리오 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받는 방법을 하나하나 알려줬다. 몇 번이나 이런 상황을 반복해 익숙해진 박 씨는 다음
날
혼자 무사히 치과에 다녀와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달 19일 서울 서초구 신라스테이 서초에서 열린 ‘과학으로 여는 미래사회 시나리오 공모전’ 시상식에서 대상을 받은 김보미 씨의 시나리오 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스트레스는 어떻게 흰 머리카락을 늘리나
2020.02.18
모낭돌출부에 연결된 교감신경(sympathetic nerve) 말단이 스트레스 신호를 받아 노르아드레
날
린을 방출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오른쪽은 모낭의 현미경 이미지로 빨간색이 멜라닌세포줄기세포(위)와 멜라닌세포(아래)이고 녹색이 교감신경 뉴런이다. ‘네이처’ 제공 ※필자소개 ... ...
방역망 밖 감염자 또 발생…31번째 코로나19 환자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못했다. 전문가들은 고령자의 경우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천천히 나타
날
수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29번 환자는 증상이 나타나서부터 코로나19 확진을 받기 전까지 병원 3곳을 9번이나 방문해 병원 내 전파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병원은 야외나 다른 시설과 달리 밀폐돼 있고 고령자와 ... ...
메르스 때도 감염경로 못찾은 환자 있었다… 29,30번환자 어디서 감염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알려졌다. 질병관리본부 중앙역학조사반과 평택시, 아산시 보건소 역학조사반 등은 그
날
을 기준으로 메르스 잠복기(2~14일)에 해당하는 5월 17~29일에 감염됐을 경우와, 31일에 보였던 증상은 메르스가 원인이 아니라는 가정 하에 31일 이후 의료기관에서 감염됐을 경우로 나눠 심층조사했다. 먼저 11 ... ...
[AAAS연례회의]美전문가, 코로나19 숨은 환자 84%…"팬데믹 가능성 여전히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연구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샤먼 교수 연구팀은 중국이 지난달 23일 출국조치를 한
날
을 기점으로 그 전 10일까지의 코비드19 확산 데이터를 조사했다. 코비드19의 확산속도가 전례 없다는 점을 들어 확인된 감염자 수와 미확인된 감염자 수를 나눠 분석했다. 확인된 감염자에 의한 전파와 미확인된 ... ...
계속되는 '0번 환자' 음모론…"우한 실험실 바이러스 유출" 주장 中논문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16일 성명을 내고 "0번째 환자는 없다"고 밝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같은
날
보도했다. 연구팀은 결론적으로 누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연관됐다고 봤다. 이번 바이러스가 인위적으로 전파됐다는 것이다. 자연에서 일어난 돌연변이일 가능성과 중간 숙주가 존재할 가능성에 ... ...
[인류와 질병] 전염병과 의사의 끝나지 않는 전쟁
2020.02.15
또다시 저 쥐들을 흔들어 깨워서 어느 행복한 도시로 그것들을 몰아넣어 거기서 죽게 할
날
이 온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Howard-Jones, Norman (1974). The scientific background of the International Sanitary Conferences, 1851–1938 -McCarthy, Michael (October 2002). "A brief history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발사됐다. 2015년 7월 왜소행성인 명왕성을 탐사했다. 이후 계속해서 태양계 바깥으로
날
아가 카이퍼벨트를 비행해 왔다. NASA에 따르면 뉴호라이즌스호는 현재 지구로부터 76억 ㎞까지 멀어진 상태로 시간당 5만 400㎞의 속도로 카이퍼벨트를 탐색하고 있다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