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d라이브러리
"
화학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컬럼비아대학교 지구물리학자 클라우스 랙크너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화학
물질을 넣은 인공나무를 연구하고 있어요. 이 인공나무는 자연의 나무보다 이산화탄소를 1000배나 더 흡수할 수 있다고 해요. 재밌는 사실은 이 아이디어를 랙크너 교수의 딸이 생각해 냈다는 거예요. 8학년인 딸이 ... ...
Part 2. 노벨
화학
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세상의 이치를 구하다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Part 2. 노벨
화학
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미국 스탠포드대 제난 바오 교수는 인간 피부보다 1000배 민감한 피부를 개발하고 올해 초
화학
물질을 감지하는 기능을 더해 병을 진단하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독일 연구진이 만든 로봇용 인공피부는 적외선 센서로 닿지 않고도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➊ 독일 ... ...
나노 세계의 중심에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연마 슬러리 개발이 꼭 필요하다. 필자는 4년간의 소자공정 연구실 생활을 하면서 구리
화학
적·기계적 연마 슬러리를 개발했다.4년간의 소자공정 연구실 생활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유익했다. 다양한 과목을 수강하면서 직장생활에서 느꼈던 기초 지식에 대한 갈증을 해소했다. 또한 반도체 공정 ... ...
대한민국 여성 과학인재를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개 반과 과학중점 1개 반을 묶어서 과학은 집중이수제를 한다. 과학중점과정은 생물실험,
화학
실험, 융합과학과 같은 전문과목을 더 듣는다.과학중점과정 입학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가?일반고 후기전형 방식이다. 과학고처럼 선발방식이 아니다. 과학중점과정을 지원한 학생들을 추첨 ... ...
화학
- 어디서든 통하는
화학
언어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전 세계에 있는 말과 글은 매우 다양하지만,
화학
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은 상대의 말과 글을 익히지 않더라도
화학
의 언어를 통해
화학
에 대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원소기호와
화학
식량과 몰의 정의 등
화학
의 언어를 알아본다.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세상의 이치를 구하다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Part 2. 노벨
화학
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된다.그러나 이토카와의 물질은 O-콘드라이트 운석처럼 전혀 분화되지 않은 원시 형태의
화학
조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토카와 물질에서는 이리듐 함량이 니켈이나 코발트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이리듐의 응결 온도가 1600K(약 1327℃)이상임을 감안할 때, 이리듐이 이미 응결돼 빠져나간, 즉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해가 없는지 100% 확신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 최 교수는 현재 FDA의 승인을 받은
화학
물질을 나노구조로 만들어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연구하고 있다.탄소나노튜브를 종양에 주사해야 한다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나노물질이 스스로 암세포를 찾아갈 수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애벌레를 살펴보기에 하루 중 밤이 좋지만 계절적으로는 봄이 좋다. 봄은 식물이 아직
화학
적으로 곤충 저항성 물질을 만들어 내지 않아서 애벌레들이 먹기에 좋다. 잎도 두텁지 않고 가시로 완전히 무장하지 않은 새로운 순도 애벌레에게는 최고의 식사감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인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