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것은 순 ‘뻥’이다.사실 하드디스크는 이런 물리적 충격보다는 ‘덮어쓰기’에 약하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데이터를 삭제해도 운영체제(OS)는 데이터를 바로 삭제하지 않는다. 대신 그 데이터의 주소만 지우고 ‘여기에 다른 정보를 쓸 수 있음’이라고 표시를 해둔다. 해당 데이터가 완전히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더하면 언제나 짝수가 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짝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컴퓨터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산을 시작할 거다.2+2=4, 2+4=6, 4+4=8.... 하지만 이런 식으로는 결코 답을 구할 수 없다. 물론 이런 문제는 결과를 그냥 외워둘 수도 있겠지만,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나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어떻게 쓰이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뇌 과학자뿐만 아니라 해부학자, 생리학자, 공학자, 컴퓨터 과학자들의 공동 연구가 필요한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후각 능력은 왜 이토록 뛰어난 걸까요. 글의 서두에 언급한 요시히토 교수팀은 최신 컴퓨터 기법을 통해 후각수용체 유전자, 즉 OR유전자의 진화 역사도 추적했습니다. 1만 가지 종류의 OR유전자를 연구한 결과, 13종의 포유동물이 공유한 것은 겨우 3개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어떤 원시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패턴을 분석하는 컴퓨터공학자가 등장한다. 영국 브리스톨대 컴퓨터과학과 틸로 버거트 교수는 동물개체식별 분야의 선구자다. 그는 아프리카 펭귄이 자꾸 줄어들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각 펭귄을 자동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찾기로 결심했다. 버거트 교수는 펭귄 배에 있는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2000년 이후 더 이상 손으로 요판을 깎지 않는다. 지폐 3배 크기의 종이에 스케치를 한 뒤, 컴퓨터로 입력한다. 당연히 위·변조 방지 방법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디자인 영역에서 벗어나 IT기술까지 섭렵하면서 더 다양하고 쓰기 편리한 방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출중한 디자이너에서 이제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냈다.그런데 컴퓨터는 무엇을 보고 흰 모자를 쓴 사람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을까?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숫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분류의 기준을 함수로 만들어 줘야 한다. 예를 들어 연어와 농어를 분류해 보자. 먼저 무게, 눈동자 밝기, 배의 색깔, 길이처럼 연어와 농어를 구분할 수 있는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동하는 일은 뇌에 부담을 준다. 하나의 일에 몰두하면 ‘작업기억’이라고 하는, 컴퓨터로 치면 램 같은 기억 공간이 가득 찬다. 이곳을 비워야 다음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리저리 산만하게 수많은 작업을 하게 되면 이 과정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김성찬 서울탑마음클리닉 분당클리닉 원장은 ...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기둥이 일렬로 세워져 있다. 그 기둥의 윗부분을 손으로 두드리거나 입으로 소리를 내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소리의 파동을 분석한 뒤 알록달록한 무늬로 재구성해 벽에 비춰준다. 기계식 실로폰이 자동으로 연주하며 관람객의 흥을 돋우는 건 덤이다. 이로써 관객은 소리가 빛으로 표현되고 다시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푸는 열쇠로 사용한다. 슈퍼컴퓨터로 수백억 년 이상이 걸려야 풀 수 있다. 그러나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면 몇 시간만에 풀 수 있어 수학자들은 차세대 암호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미래를 책임질 암호➊ 완전 동형 암호암호화된 상태로 여러 가지 연산을 할 수 있어 정보를 보호하기에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