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파킨슨도 깜짝 놀랄 초파리 연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않는다는 사실도 밝혔다. 정 교수는 “파킨이 어떤 경로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조절
하는지 알아내면 파킨슨병 치료제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2006년 ‘네이처’ 온라인판 5월 4일자에 실렸다.정 교수가 초파리와 처음 인연을 맺은 시기는 1999년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초안이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모니터에는 스스로 빛을 내는 수많은 점들이 반짝이고 있다. 이 빛의 밝기를 적당히
조절
하면 다양한 색을 만들 수 있다. 빛과 빛이 더해질수록 눈에 들어오는 전체 빛의 양은 증가한다. 예를 들어 빨간색 빛과 녹색 빛을 함께 스크린에 비추면 본래의 두 빛보다 밝은 노란색의 빛이 된다. 또 녹색빛과 ...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독일에서 보낸 한 달여의 시간은 추억이 되었지.월드컵을 준비하는 동안 선수들은 체력
조절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압박과 불안감을 잘 극복해야 했어. 어디 그뿐이겠어. 지나치게 흥분하면 경기를 그르칠 수도 있으니 침착해야 하고, 상대팀을 분석하여 과학적인 작전을 짜야하고…. 이제 월드컵이 ... ...
자연에서 얻는 공학적 영감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굵기는 공정 조건에 따라 거미줄 정도인 10μm에서 거미줄보다 가는 수백nm까지 다양하게
조절
할 수 있다.인공 거미줄 같은 나노섬유는 화상을 치료하는데 쓰는 거즈로 유용하다. 기존 거즈로 상처 부위를 덮으면 공기가 통하지 않아 살이 자라기 힘들다. 하지만 나노섬유를 뿌려 만든 거즈는 세균이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더 나아가 고등생명체가 생명현상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유전자 발현을 RNA가 정밀하게
조절
하는 메커니즘도 밝혀졌다.예를 들면 3만여개의 유전자를 갖고 있는 인간은 분화발생단계에 따라 필요한 일부 유전자만 엄격한 통제 아래 발현되고 다수의 유전자는 발현이 억제돼야 한다. 인간의 유전자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만들었다. 탈진기는 동력을 전달하고 시간을 표시하는 톱니바퀴와 시계의 작동 속도를
조절
하는 진동기를 연결해 주는 부품이다. 이 탈진기는 교회 종치기였던 형제의 삶을 시계공으로 바꿔놓는 계기가 됐다.1730년 존 해리슨은 런던의 경도심사국을 찾아가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를 만나면서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모리마사모토 교수팀은 뇌에서 만들어지는‘네스파틴-1’(Nesatin-1)이란 단백질이 식욕을
조절
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쥐로 실험한 결과 네스파틴-1을 주입하면 식욕이 감소해 음식을 덜 먹고, 차단하면 많이 먹어 비만이 생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소아비만은 모유수유로 해결?!미국 ... ...
개의 덩치를 결정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교수는 “개의 종에 따라 덩치를 결정하는 핵심 유전자는 igf-1”이라며 “이 유전자를
조절
하면 작은 세인트버나드와 큰 치와와를 만들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 ...
물위에 예술이 흐른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물은 수소와 산소가 화합한 분자로 H2O로 표현한다. 인체에서는 물질을 용해하고 체온을
조절
하며, 대사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곧 물은 생명과도 같은 것이다. 인류 문명의 발상지가 모두 강을 끼고 형성된 것도 같은 이유다.특히 ‘아트카날 2006’에서는 물의 ‘흐름’(fluid)에 주목했다. 물은 ... ...
반도체에 심은 양자컴퓨터 씨앗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상태를
조절
해 큐빗을 만들고, 분자 전체의 상호작용을 이용해 여러 큐빗의 조합 상태를
조절
한다.그러나 핵자기공명 방식은 큐빗의 수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양자정보처리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서울시립대 안도열 교수는 “기술적으로 볼 때 핵자기공명방식으로는 최대 10큐빗 이상은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