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d라이브러리
"
조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2. 물고기와 속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푸른색 잉크를 떨어뜨렸다. 유속은 수도꼭지로
조
절했다. 그러나 생각했던 것보다 유속
조
절이 어려웠고 잉크의 흐름이 잘 보이지 않았다.여러 차례 시도 끝에 우리들은 모형 주위에 서로 다른 물의 흐름이 생기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방추형(참치)에서는 물이 그 표면을 따라서 매끄럽게 ... ...
3. 쌍방향 인터넷 광고 "원하는 사람만 보세요"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및 제품선전을 강화할 계획이다.이들 국내 기업들의 활동 외에도 2000년이면 10
조
원의 매출규모로 성장할 인터넷 광고시장을 잡기 위해 광고업체들 역시 멀티미디어 전담팀을 구성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미 제일기획이나 금강기획, LG애드, 오리콤 등 국내의 내로라하는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부르며 오리모양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람베오사우루스가 대표적인
조
각룡이다.검룡(골판룡)은 주로 쥐라기 때 살던 초식공룡으로 스테고사우루스처럼 목에서 꼬리까지 등을 따라 뼈로 된 골판이 돋아있다. 이와 달리 곡룡(판룡)은 주로 백악기 때 살던 초식공룡으로 등에 거북처럼 딱딱한 골판이 ... ...
2. 최적의 온도와 pH는 얼마일까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실험군과 대
조
군에서 모두 아무런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다른 실험
조
들도 동일하게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했을 때 아무런 반응이 없었잖아. 요오드화칼륨용액이 녹말과 반응할 수 없었던 것은 수산화나트륨이 녹말과 효소의 작용능력을 빼앗았던 것은 아닐까.황제우) ... ...
왜 양약과 한약으로 나눠졌을까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판단 때문일 것이다. 또 과학외적인 전통문화의 발전이라는 명분도 있다. 이런 한약 강
조
정책이 한약에 대한 믿음을 지속적으로 키워가는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음양오행설 : 옛날 중국의 세계관으로 음양설과 오행설을 합친말. 음양설은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과 양이 상대적으로 성하고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새의
조
상인가, 공룡과 새는
조
상이 같은데 달리 진화해 온 것인가, 아니면 새가 공룡의
조
상인가 하는 점은 더 많은 화석이 연구된 다음에야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수수께끼④현대과학으로 공룡 되살릴 수 있을까 - 호박속의 공룡, DNA 복원 마이클 크리튼이 쓴 소설 '쥐라기 공원'에서 유전학자들은 ... ...
수증기 먹고 자라는 거대에너지 태풍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영남과 호남지방에 50-1백mm 이상의 비를 내렸다. 또 남해에서 오랫동안 계속되던 적
조
현상이 태풍이 몰고 온 강풍과 강우로 인해 말끔히 사라졌다. 덕분에 양식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많은 어민들은 한시름 놓게 됐다 ... ...
1. 사이버캐시통화 2010년 1
조
달러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창업자인 보브 메트카프는 ‘전자상거래의 허구성’ 등 각 분야에 걸쳐 문제점을
조
목
조
목 지적한다. 메트카프는 특히 인터넷이 전자우편과 같은 통신수단으로는 앞으로도 이용이 확대되지만 ‘인터넷 자체가 비즈니스로서 이익을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가령 인터넷에는 수천개의 ... ...
오토매틱 - 편한 만큼 위험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바로 치명상을 초래할 수 있다.일반인들은 안전벨트 착용의 불만으로 몸이 심하게
조
이는 것을 손꼽는다. 이런 불편을 해결해주는 액세서리로는 벨트는 착용하되, 느슨하게 해둘 수 있는 벨트버클이 인기다. 이런 버클은 사고 때 순간적으로 안전벨트를 당겨주는 장치가 마련돼 있다. 하지만 충돌 후 ... ...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의사로 들어간 바겔로스는 환자를 돌보면서 연구를 시작했다.1959년 알버츠는 바겔로스의
조
수가 됐다. 알버츠는 1953년 부룩클린 칼리지를 나와 메릴랜드대학에서 학위논문만을 남기고 국립보건원에 들어와 있었다. 바겔로스와 알버츠는 국립보건원에서 인체의 콜레스테롤 생합성 경로를 연구했다.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