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6호
- 해양생물들이 많은 이유가 물의 부력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바다에서는 물이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부력을 주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이 작아 몸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거대 생물의 시대가 온다?과학자들은 공룡의 멸종 이후에도 남아있던 거대 포유류들이 멸종하게 된 이유로 기후 변화와 ...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60~100일 정도지만, 우주에서는 2배로 빨리 늙는 특성이 있거든. 또 초파리는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성질이 있어. 따라서 약한 중력상태에서 내 움직임을 관찰하면 중력이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 할 수 있단다. 2 예쁜꼬마선충예쁜꼬마선충이에요. 몸이 투명해 몸에 변화가 ... ...
- 청소의 달인 '먼자나 안나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고개를 들어 천장을 보는 순간, 환풍기가 눈에 들어왔다.“그래! 먼지를 불어내는 동작을 반대로 하는 거야! 환풍기처럼 바람을 빨아들여 먼지를 담아내면 되겠구나!”위대한 발명의 순간. 하지만 드디어 악당 업새블라가 나타났다.“캬~, 똑똑한걸? 곧 진공청소기를 만들 수도 있겠구먼. 하지만 너무 ... ...
- 프랑스의 진동연구가 '부르르 떠넹'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4호
- 모터를 달아서 움직이도록 만든 장난감이었다. 진동이 울리면 다리가 구부러진 방향의 반대쪽으로 나가게 되어 있다.“어? 그런데 뭐가 좀 이상한 걸? 하나가 뒤집혔어!”문제 3진동카는 기울어진 경사쪽으로 전진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하나만 거꾸로 달리게 놓여 있다. 어떤 진동카가 거꾸로 ... ...
- 태국 남 뚜엄(홍수),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쉽지 않다. 비가 많이 올 때 지나치게 댐의 수위를 낮추면 가물 때 물이 부족하게 되고, 반대로 비가 안 올 때 수위를 높이면 홍수 때 물을 담아 둘 수가 없다.이런 어려움을 해결하는 첫 번째 방법은 물의 양을 철저히 계산하는 것이다. 먼저 비의 양과 강물의 높이의 관계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북반구를 기준으로 여름에는 태양의 고도가 높아 그림자의 길이가 짧고, 겨울에는 반대로 태양의 고도가 낮아져 그림자의 길이가 길어진다.성당의 벽에 작은 구멍을 뚫어 해시계가 12시를 가리킬 때 그 점을 표시한다. 이 점은 자오선 위에 있으며 그 위치는 매일 달라진다. 로마의 산타마리아 델리 ... ...
- 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수학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의미빈 도시락 이야기는 삼국지의 조조와 순욱의 일화에 나온다. 순욱이 조조의 뜻을 반대하자, 조조는 화를 참지 못하고 순욱에게 빈 도시락을 보낸다. 조조는 음식이 담겨 있지 않은 빈 도시락을‘더 이상 먹지 말라’는 뜻으로 보낸 것으로, 결국 순욱에게 ‘자결’을 명한 것이다. 하지만 태종이 ... ...
- 성격별 수학 학습법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비가 온 다음 해가 뜰 때 나타날까?●왜 바닷가에선 낮과 밤의 바람의 방향이 서로 반대일까?●왜 사람은 더우면 땀이 날까?수학자의 질문●에베레스트 산의 정상을 올라가지도 않고 어떻게 산의 높이를 알 수 있을까?●강을 건너지 않고도 어떻게 강의 폭을 알 수 있을까?●우주에 가지 않고도 ... ...
- 아기와 생쥐, 같은 걸음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생후 일주일 후부터 약 3주 동안 나타나는데, 발을 딛고 엉덩이 관절과 무릎을 굽혀 발을 반대편 발쪽으로 움직인다.연구팀은 신생아의 보행반사와 걸음마를 막 배우는 아기와 성인의 걸음걸이를 비교 분석했다.그 결과 신생아는 두 단계에 걸쳐 척수 뉴런이 활성화됐다. 신경계는 아기가 다리를 ... ...
- Part 1. 털, 동물은 입고 인간은 벗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이유는 보호색을 위해서다. 눈으로 덮이거나 툰드라 초원이 된 빙하기 때 왜 털매머드는 반대로 눈에 확 띄는 색을 한 걸까.화려한 깃털은 짝짓기용?우리와 가장 가까운 가문인 새의 깃털은 파충류인 공룡에서 나왔다. 새 자체가 오늘날 살아남은 거의 유일한 공룡의 후손이다. 공룡 가운데 깃털을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