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의 근간인 공리가 종이접기에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여섯 가지 공리를 발표했습니다. 이후 2001년 일본의 종이접기 작가인 하토리 코시로와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유명한 종이접기 작가인 로버트 랭이 7번째 공리를 찾아 추가했죠. 이 공리들은 처음 발견한 수학자의 이름을 따 ‘후지타-하토리 공리’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종이접기에서는 당연히 ... ...
- [매스크래프트] #11. 미국 대통령 집 백악관 미국 선거제도에도 수학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방법이랍니다.이렇게 많은 수학자와 경제학자가 다양한 선거제도를 제안하던 중 미국의 경제학자 케네스 애로는 1951년 자신의 논문을 통해 투표자들에게 세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투표방식을 제시할 때 어떤 투표 방식도 모두가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해 발표했어요. 일명 ‘애로의 ... ...
- [매스미디어] 테슬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일종의 변압기입니다. 테슬라는 이 테슬라 코일로 더 많은 실험을 하기 위해 1899년 미국 콜로라도스프링스의 높은 곳에 실험실을 세웁니다. 이맘때쯤 우연히 번개에서 주기적인 파동을 측정하게 되고 지구가 도체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리고 도체인 지구에 전기를 흘려보내면 선 ... ...
- [이달의 수학자] 집단 지성의 힘을 믿는 수학자, 티모시 가워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수학 문제를 집단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리잡았고, 수학동아와 미국 매사추세스공과대학교(MIT) 등 많은 곳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가워스 교수는 더 나아가 수학 지식을 널리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일반인들이 수학 지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수학 ... ...
- [한페이지 뉴스]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일정하다. 최근 새들이 정확한 타이밍에 음을 낼 수 있는 원리가 밝혀졌다.마이클 롱 미국 뉴욕대 랑곤메디컬센터 교수팀은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다양한 노래를 부르는 금화조의 뇌를 관찰했다. 특히 조류의 뇌에서 인지 및 감각 능력을 담당하는 니도팔리움(nidopallium)에 위치한 HVC(High Vocal Center) ... ...
- [한페이지 뉴스] 우리 몸의 엔진, 심장의 연료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어떤 물질이 심장의 연료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많지 않았다.졸탄 어러니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페렐만의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최근 심장을 통과하는 혈액의 성분을 분석해 심장 박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가 지방산임을 밝혀냈다.연구팀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떨어져 ... ...
- 코로나19 덕분에 vs. 때문에과학동아 l2020년 11호
- 95% 수준이다. 관측시스템 구축에 참여했던 코리네 퀘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교수는 미국 매체 ‘내셔널지오그래픽’과의 인터뷰에서 “인류는 여전히 같은 차, 도로, 산업, 그리고 집을 유지하고 있기에, 코로나19로 인한 제한이 풀리면 탄소 배출량이 다시 원상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상을 받았다.데이비드 펜들버리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수석분석연구원은 10월 2일 미국 CNN과의 인터뷰에서 “피인용률은 연구자의 업적을 판단할 때 중요한 한 가지 지표”라며 “이를 바탕으로 과거 노벨상에 선정됐던 분야인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전력을 만들 수 있다.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충전하기에 충분한 양이다.2016년 미국 조지아공대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활용하는 팔찌를 개발했다(사진). 이 팔찌는 섬유 기반의 마찰 나노 발전기와 경량 고분자 태양전지 섬유를 결합해 만들었으며, 다른 물체와의 마찰과 태양광으로부터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트래블상(Tony B. Academic Travel Award)을 최연소로 수상했다. 덕분에 경비를 지원받고 미국 워싱턴 D.C.에 가서 연구 발표를 했다. 발표가 끝나고 캘리포니아에 있는 스탠퍼드대로 가서 내 연구에 영감을 준 웨이민 우 박사를 만나 이야기도 나눴다.당시 나의 최대 고민 중 하나는 전공을 선택하는 문제였다.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