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뜻"(으)로 총 5,87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길고 뾰족한 앞니와 작은 크기의 어금니를 가지고 있어서 ‘두 가지 모양의 이빨’이란 뜻의 디모르포돈이란 학명이 붙었다.디모르포돈은 주둥이 모양만 프테로닥틸루스와 달랐던 것은 아니다. 짧은 꼬리를 가진 프테로닥틸루스와 달리 디모르포돈은 긴 꼬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 꼬리는 30개의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서 있는 사물을, 네모 눈동자는 옆으로 움직이는 사물을 비교적 또렷하게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동공을 둘러싼 근육이 다르게 생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람처럼 눈동자가 둥글면 동공을 둘러싼 근육도 도넛 모양으로 둥글다. 이 근육이 조이거나 늘어나면서 빛이 들어오는 양을 ...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것을 볼 수 있어요. 이때 1:50,000은 지도상에서 1cm의 거리가 실제로 50,000cm를 나타낸다는 뜻이에요. 아래와 같이 막대자를 이용해 표기하기도 합니다.이제 같은 지역을 서로 다른 축척으로 나타낸 여러 지도를 살펴봅시다. 축척에 따라 어떤 지도는 매우 자세하게 볼 수 있기도 하고, 어떤 지도는 ... ...
- [참여] 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그래픽 자료를 손으로 그려서 게임에 적용했어요. 배경과 캐릭터를 직접 디자인했다는 뜻이에요. 게임카페 수업을 진행한 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님은 “4시간이란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집중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학생들이 직접 그린 그림을 적용한 게임을 스마트폰에 담아가는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작았다.결국 연구팀은 이 화석인류가 호모 속에 속한다고 결론짓고, 세소토어로 별을 뜻하는 단어(날레디)를 붙여 ‘호모 날레디’라는 이름을 붙였다. 한편, 디날레디의 방에서 호모 날레디의 뼈화석이 무더기로 발견된 데다 상태가 깨끗한 것을 보고 이들이 이곳에 시신을 매장했다고 추정했다 ... ...
- [수수께끼 2] 모자 장수가 수학자라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with the wrong end in front!)’라고 한다. 책상은 위치를, 까마귀는 철자를 바꿔 쓰면 안 된다는 뜻이다. 여기서 never(절대)를 nevar이라고 일부러 틀리게 썼는데, 그 이유는 알파벳을 거꾸로 쓰면 raven(까마귀)가 되기 때문이다.영국식 말장난이라서 캐럴의 답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오히려 재미있는 ... ...
- [교육] 질서정연하게 엉켰다! 아이스크림 막대로 만드는 ‘오더리 탱글’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탱글은 다각형이나 다면체가 규칙적으로 복잡하게 꼬여 서로 지탱하는 구조물이다. 언뜻 들으면 말이 안 되는 것 같지만 신비로운 자연을 빼닮은 작품이다.오더리 탱글의 매력은 예술가를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일상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으로 기하학 작품을 만드는 실험수학자 ‘조지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정도로 가솔린의 비중(0.75)보다 높다. 같은 부피의 연료로 더 많은 에너지를 낼 수 있다는 뜻이다.다른 차에 비해 이산화탄소를 덜 배출한다는 것도 디젤차의 장점. 탄소배출량에 따라 자동차세를 과세하는 유럽(특히 독일)에서 자동차 회사들이 디젤차 개발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 배출가스,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일부 과학자들은 왕도마뱀류와 이구아나류, 그리고 뱀을 묶어서 ‘독을 가진 자들’이란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톡시코페라(Toxicofera)’라고 부른다.[중국에서 발견된 깃털공룡 시노르니토사우루스 복원도(왼쪽). 독을 이용해 사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최초의 공룡이다. 하지만 정말 독을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아주 낮다. 소비전력 100W인 백열전구가 빛으로 바꾸는 에너지가 불과 2W에 불과하다는 뜻이다(나머지는 열로 소실된다. 이외수의 소설 ‘들개’에는 백열전구를 난방장치로 쓰는 장면이 나온다). 백열전구에서 1초당 나오는 빛알의 개수를 N이라 하면, 백열전구에서 1초당 나오는 빛 에너지는 빛알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