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모형’을 변형해 ‘좀비 바이러스 확산 모형(SZR)’을 만들었습니다. 최근 영국 셰필드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 학생들은 이 SZR 모형을 변형해 개인이 좀비에 맞서 싸울 때, 군대가 싸울 때, 좀비를 피해 숨었을 때로 나눠 인류의 미래를 점쳤습니다. 그 결과 세 전략 모두 시간의 차이만 있을 뿐 168일이 ...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2월 7일,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2019 탐험대학 페스티벌’이 열렸어요! 탐험대학에 참가한 30명의 청소년은 전문가 멘토 등 200여 명의 앞에서 지난 반년간 자신의 탐험 이야기를 들려주었지요. 청소년 탐험가들, 반년 동안 과연 어떤 일을 겪었을까요? 탐험대학은 초등학교 ... ...
- [수학뉴스] 테렌스 타오 교수 덕에 빛을 본 고유 벡터 연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거죠. 재밌는 사실은 2011년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에서 네트워크 이론을 연구하는 피에트 판 미에그헴 교수가 이 방정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값인 ‘고유 벡터 항등원’을 이미 연구했다는 점입니다. 타오 교수의 연구 덕분에 알려지지 않았던 미에그햄 ... ...
- 기후변화 해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연구원), 강혁(국가수리과학연구소 공공문제연구팀 선임연구원), 정수종(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교수),최용식(환경부 기후전략과 사무관)참고자료 기후변화홍보포털, 외교부 관련 홈페이지, 환경부 ‘파리협정 길라잡이’, 한국에너지공단 블로그, 로만 올손 외 ‘A novel method to test non ...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심박수가 바뀌지만 그걸 마음대로 조절하는 건 아니니까 신기할 거야.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해양생물학자들은 우리 신체 내부의 생리 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내 심박수를 쟀어. 연구팀은 대왕고래 왼쪽 지느러미에 도시락통 크기의 모니터링 장치를 부착했어. 그리고 이것이 떨어지지 않도록 네 ...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는 시간이었어요. 3년 동안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오통스 세레 연구원이 첫 발표자로 나섰지요.“2016년부터 2018년까지 지구사랑탐사대와 네이처링, 아이내츄럴리스트(iNaturalist) 등 시민과학 플랫폼을 통해 수집한 자료로 서울의 화분매개자 ... ...
- 보이저…미래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_INTERVIEW 박지우(NASA 고다드 우주센터 태양권 물리학 실험실,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행성 및 태양권 물리학 연구소 연구원) “보이저 팀에서 연구하고 있어요!” Q 이번 연구에 참여하셨다고 들었어요! 보이저 팀에서는 어떤 연구를 하시나요? 저는 2016년에 보이저 팀에 합류해서 현재 보이저 ... ...
- 내 과자, 놓치지 않을 거예요 !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일을 피하려면 갈매기를 째려보세요! 무슨 황당한 말인가 싶겠지만 지난 8월, 영국 엑서터대학교 생태보존연구소 매들린 고마스 연구원이 실험으로 밝혀낸 사실이랍니다.실험은 영국 콘월의 한 해변에서 진행됐어요. 고마스 연구원은 해변 바닥에 감자튀김 250g을 두고 1.5m 떨어져 웅크리고 있었지요.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교배를 시키기도 어렵죠. 어떻게 고양이는 인간의 친구가 되었을까요?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생물학자인 칼로스 드리스컬은 약 10년 동안 전 세계의 고양이 유전자를 수집했어요. 그 결과, 모든 고양이가 중동에 사는 ‘리비아살쾡이(왼쪽 사진)’의 자손이라는 점이 드러났어요. 칼로스 드리스컬은 ... ...
- [과학뉴스] 뱀, 뒷다리 7000만 년간 사용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11월 21일, 아르헨티나 마이모니데스대학교 페르난도 가르베로글리오 연구원은 뱀이 7천만 년간 뒷다리를 안정적으로 사용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이 연구가 발표되기 전까지 뱀의 뒷다리는 진화를 위한 과도기 단계로 별다른 쓰임이 없었을 것이라 여겨졌어요. 하지만 연구팀이 컴퓨터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