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어린이과학동아
"
먹이
"(으)로 총 2,049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외모를 지니게 된 거야. 사랑스럽지는 않지만 별로 크지 않아서 위협적이지도 않아. 심해에서는 먹을 것이 부족하기 때문에 번 잡은
먹이
는 절대로 놓치면 안 돼. 따라서 심해물고기들은 큰 턱과 날카로운 이빨을 갖게 됐어. 또 희미하나마 빛이 들어오는 곳에 사는 생물들은 몸을 빛나게 해 적의 눈에 띄지 않는 방법을 쓰지. 바다의 힘을 느끼다 바다의 ...
한여름에 떠난 북극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8
새들이 많이 찾아오자 신이 난 북극 여우는 바다오리의 알을 훔쳐 유유히 사라진다. 북극여우는 다가올 겨울을 대비해 먹고 남은
먹이
를 눈 속에 파묻어 둔다. 위기에 처한 얼음왕국 겨울과 반대로 북극의 여름은 해가 지지 않는다. 단지 미국 알래스카의 일부 지역에서만 백야 기간에도 4시간 정도 어둠이 내린다. 이 짧은 시간 동안 북극의 동물들은 꿀맛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3
보고 흥분한다. 섬뜩한 눈동자를 가진 뱀은 어떤 세상을 바라보고 있을까? 뱀은 사람이 볼 수 없는 적외선을 감지한다. 따라서
먹이
의 몸에서 나오는 열을 느끼고 사냥할 수 있다. 뱀의 눈은 적외선투시카메라 같기 때문에 밤에도 사람을 볼 수 있다. 곤충의 겹눈은 수천 개의 홑눈이 모여 만들어진 복합렌즈다. 겹눈에 비친 물체의 움직임은 모자이크 화면 ...
자연이 펼치는 유혹의 기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11
일반적으로‘거미’하면 정교한 거미줄을 쳐놓고 먹잇감이 걸리길 기다리는 인내심 많은 사냥꾼이라고 생각하기 쉬워요. 그런데
먹이
를 유혹해 사냥하는 교활한 거미도 있답니다. 볼라스거미는 암컷 나방이 수컷을 유혹할 때 풍기는 냄새를 흉내내요. 아리따운 암컷 나방 냄새를 맡고 막무가내로 날아드는 눈먼 수컷들은 곧 거미줄에 꽁꽁 묶인 처지가 돼버리지요. ...
북극과 남극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29
따라서 북극곰이 차가운 남극해를 헤엄쳐 남극 땅을 밟는 일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반면 펭귄은 가마우지 같은 물새처럼 남극에
먹이
를 찾아 날아왔고(펭귄은 포유류가 아니라 조류다) 거추장스러운 날개는 잠수하기 좋게 지느러미 모양으로 진화했다. 그렇다면 펭귄은 남극에만 살까? 흔히 그렇게 생각하기 쉬운데 적도 바로 아래에 있는 갈라파고스제도를 비 ...
과학의 역사와 함께한 개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29
어떤 자극이 되풀이 되면서 생긴 반사를‘조건 반사’라고 하고,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반사를‘무조건 반사’라고 해요. 개가
먹이
를 먹을 때 침이 나오는 것은 무조건 반사이고, 파블로프 박사의 실험처럼 밥을 먹을 때마다 종소리를 들려 주어 종소리만 들어도 침이 나오게 되는 반사가 바로 조건 반사예요 ... ...
잠(4)-겨울잠에서 배우는 우주여행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30
냉동된 채로 미래로 가고 있는 냉동인간들. 그들은 깨어날 수 있을까요? 따뜻한 봄을 기다리며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춥고
먹이
도 없는 추운 겨울을 무사히 보내기 위해서지요. 하지만 우리 북극곰들이 살고 있는 북극은 언제나 추운 겨울과 같아요. 만약 우리들이 겨울잠을 잔다면 일 년 내내 잠만 자야 할 거예요. 그래서 북극곰들은 추위에 강 ...
잠(3)-특이한 잠버릇을 잠버릇을 가진 동물기네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30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죠. 하지만 곰은 체온이나 심 장박동수가 줄어들기는 하나 크게 변화가 없으며 잠을 자다가 때때로 깨어나
먹이
를 먹기도 한답니다. 뱀과 개구리도 가능한 한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서 겨울잠을잡니다. 뱀은 굴이나 땅 속, 돌 틈에서 겨울잠을 자며 대부분의 개구리는 물 속, 땅을 팔 수 있는 두꺼비는 땅 속에서 겨울잠을 잡니다. ...
잠(1)-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30
실험을통해 잠의 기능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쥐에게 잠을 자지 못하도록 해 보았어요. 그러자 쥐는 피부가 부스러졌으며
먹이
를 충분히 먹어도 체중이 감소하고 체온조절능력이 떨어졌습니다. 잠을 자지 못한 쥐는 3~4주가 지나자 감염에 대한 저항능력이 떨어져서 죽게 되었어요. 결국 잠은 몸의 면역기능과 체온조절능력등 건강 유지에 꼭 필요한 ...
공룡에 관한 여덟가지 미스터리(4)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31
인해 공룡을 비롯한 다른 생물들도 멸종하게 되었다는 주장이지요. ●알 도난설 중생대 말에 수가 늘어난 포유동물들이 공룡알을
먹이
로 삼았는데, 이 때 공룡알의 숫자가 줄어들게 되면서 공룡이 멸종하게 되었다는 주장입니다. ●알칼로이드 중독설 중생대 말에 나타난 새로운 종류의 식물 중에는 알칼로이드라는 유독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있었는데, 이 유독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