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
nine
d라이브러리
"
9
"(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체외 인간 난자 배양 세계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배양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20대와 30대 여성 10명이 기증한 미성숙 난자 48개 가운데
9
개를 성숙시키는 데 성공했다. 난자는 성숙하는 과정에서 감수분열을 해 염색체의 수가 반으로 줄어든다. 그래야 절반의 염색체를 가진 정자를 만나 정상적인 수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실패한 난자의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
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고스케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그룹장(규슈대 교수)은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해 2012년
9
월 113번 원소를 발견했다. 이 원소는 2016년 6월 ‘니호늄(Nh)’이라는 명칭을 얻으며 주기율표에 공식적으로 등재됐다. 권 연구위원은 “새로운 원소 발견은 물론 빅뱅 이후 우주에서 핵 합성이 일어난 과정이나,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7% 정도 급격히 감소했기 때문이다. 남극 순환 심층수는 그 온도가 해수의 어는점(영하 1.
9
도)보다 약 3.5도가량 높아 얼음 하부를 녹이는 데 크게 기여한다. 만일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현재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2100년에는 이 지역 빙상이 붕괴하는 것만으로 해수면이 1m 가량 상승할 수 있다.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은 크리스퍼라는 RNA가 표적 유전자를 찾아가 ‘캐스(Cas)
9
’이라는 효소를 이용해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돼지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유전자가위 기술로 교정하거나, 줄기세포나 체세포에서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 ...
[매스미디어] 블랙 팬서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상관없이 가장 부자로 꼽히는 영웅 3명의 재산을 계산해 비교해 보자. 1달러는 2월
9
일 환율을 기준으로 10
9
3원으로 계산했고, 블랙 팬서 재산의
99
% 이상이 비브라늄이므로 비브라늄의 가치만 계산했다. 마침내 끝판왕이 온다마블 시리즈에서 각자 활동하던 영웅들은 가끔씩 어벤져스 시리즈를 통해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피갈리 교수의 가장 큰 업적은 유명한 수학 학술지인 ‘악타 마테마티카’ 2016년
9
월호에 실린 연구입니다. 복소수를 원소로 갖는 n×n 랜덤 행렬 중에서 자기 자신과 켤레 전치★가 같은 에르미트 행렬은 랜덤 행렬이 어떤 분포를 갖던 상관없이 공통적인 성질이 있다는 것을 밝힌 겁니다. 켤레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내 자리는 어디에!? 15 퍼즐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맨해튼 거리와 해밍 거리는 어디까지나 최솟값을 추측해보는 도구일 뿐이에요. 1
999
년에는 컴퓨터 과학자인 아드리안 부륀거, 암브로스 마제타, 코메이 후쿠다, 유어그 니버젤트가 배열이 짝순열이기만 하면 어떤 배열이든 80번 안에 표준 배열을 만들 수 있다고 증명하면서 최솟값과 최댓값을 대략 ... ...
[과학뉴스] 평창 하늘 수놓은 1218대 드론 군무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순식간에 올림픽을 상징하는 오륜기로 바뀌더니 다시 한번 영롱한 광채를 뽐냈다. 2월
9
일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을 시청하던 전 세계 25억 명의 시선을 사로잡은 한 겨울밤의 쇼는 드론 1218대가 하늘을 누비며 만들어낸 장관이었다. 드론 ‘슈팅스타’ 1218대 동시 비행이날 드론 쇼의 조종사는 단 한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미국 카네기멜론대 의생명공학과 교수 등 생체모방공학 연구의 대표적인 과학자
9
명과 함께 최근 20년간 동물 모방 로봇이 어떻게 탄생했고 어떤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리뷰 논문을 발표했다. doi:10.1126/scirobotics.aaq04
9
5 논문에 따르면 과거에는 딱딱한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