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시노후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학생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요. 전국 초등학교의 10%, 중학교의 7.5% 정도가 40년 이상 된 노후 학교로 주기적인 점검과 보수가 꼭 필요하지요. 학교뿐만이 아니에요. 다리, 댐, 상하수도 등 우리나라 도시를 이루는 다양한 시설물이 노후화를 겪고 있어요. 우리나라는 1970~80년대 빠른 ... ...
- 노후시설물, 와르르 무너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매년 2500만 대의 엄청난 통행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무너진 거예요.우리나라에서는 7월 말, 다리가 갈라지고 한쪽으로 기우는 사건이 발생했어요. 연이은 폭염으로 인해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야탑10교의 일부가 갈라지면서 다리가 8° 가량 기울어졌지요. 이 다리는 지어진 지 26년이 흘러 노후 ... ...
- 노후 하수관, 로봇으로 꼼꼼히 검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1만 5600km를 조사했어요. 그 결과 파손으로 싱크홀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하수관 7만 6000여 개를 발견했지요. 즉, 1km 당 평균 4.9개의 결함이 있는 셈이에요. 환경부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5년간 노후 하수관을 교체할 예정이랍니다. 꿈틀꿈틀, 하수관을 검사하는 로봇! 지금까지 하수관을 ...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채집된 종을 보고하는 거예요. 지금까지 해마를 포함해 총 7종을 세계 최초로 보고했고,ㅡ19종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했지요.어시장 돌아보며 새로운 종 찾아요! - 명세훈새로운 종을 찾는 가장 흔한 방법은 어시장에 가는 거예요. 연구자가 어시장에 간다니 재밌죠? ... ...
- 생존비법! 3의 법칙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살아남기’뿐이었지요. 소년들은 어떻게 동굴에서 긴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걸까요? 7월 2일 밤 10시, 동굴 입구로부터 4km 떨어진 곳에서 무사히 살아있는 소년들이 발견됐어요. 긴 시간 동안 동굴에서 생존할 수 있었던 건 ‘3의 법칙’이 잘 지켜진 덕분이지요. 3의 법칙은 생존의 기본 조건을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대한 개념이 없다면, 어떤 물체가 뾰족한지, 둥근지 구별하는 것도 불가능하겠지요. 17세기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는 태어날 때부터 시각장애를 겪은 사람도 세모와 네모의 차이를 알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눈이 안 보이면 몸의 운동으로, 몸의 운동 능력이 없으면 눈으로 거리와 공간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꽃이 낙지를 닮았네! 낙지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이름이 붙었지요.오늘 소개할 식물 ‘낙지다리’는 꽃이 낙지의 빨판을 닮았어요. 7~8월이면 낙지다리의 줄기 끝은 사방으로 갈라져요. 그리고 갈라진 가지마다 동그란 꽃이 줄지어 피어나지요. 꽃에 꽃잎은 없고 컵 모양의 꽃받침만 있어 생김새가 빨판과 판박이랍니다. 가지조차 낙지의 다리처럼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지구사랑탐사대 2018 여름캠프가 경북 봉화에 위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열렸어요. 7월 20일부터 22일까지 1박 2일 간 2회로 진행된 이번 캠프에는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팀을 비롯해,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문가와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140여 명이 ... ...
- 게임으로 충격을 치료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기억을 짧게 저장하는 곳이에요. 인간이 작업기억에 잠시 저장할 수 있는 정보는 평균 7가지라고 알려져 있어요. 만약 난민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공포스러운 기억을 떠올리면 작업기억은 모두 기억을 다시 단단히 저장하는 데만 사용돼요. 반면 공포스러운 기억을 떠올림과 동시에 테트리스를 하면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암흑, 블랙아웃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열대야로 전기 사용량이 크게 늘었어요. 지난 7월 24일의 *최대전력수요는 9248만㎾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을 정도예요. 그러나 앞으로 폭염이 계속 이어질 거란 예보가 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블랙아웃을 걱정하고 있어요. 블랙아웃은 공급되는 전기보다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