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차르트 음악이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앞선 경우와 같다. 하지만 이번엔 1
백
개의 주사위 중 하나의 주사위만을 다시 던진 후 1
백
개 주사위의 눈을 합한다. 그러면 다음 음은 기껏해야 0에서 9까지만 달라지게 될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음악은 별다른 변화 없이 매우 완만한 방식으로 전개될 것이다.이런 식으로 새로 던져지는 주사위의 ... ...
3. 유전자가 여는 디스토피아?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대한 또하나의 차별이다. 또 수정 순간을 인간의 출발점으로 보는 보수주의에 따르면, 명
백
한 살인 행위이다.그런데 유전자 검사가 이루어지면 단지 먼 훗날 기형을 유발할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는 이유로, 더 심한 경우에는 육손과 같은 약간의 기형을 유발할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는 이유로 예비 ... ...
② 농업 : 슈퍼옥수수와 씨감자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수 있다.정 박사팀은 여러 경로를 통해 북한에 씨감자를 공급해 왔다. 지금까지 약 5
백
만주 정도가 북한으로 들어갔는데, 만일 북한에서 씨감자를 잘 심어 가꾸었다면 북한은 약 1억개의 우량씨감자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그러나 아쉽게도 정 박사팀은 그동안 인공씨감자 시험재배에 관한 자료를 ... ...
전문가로 똘똘 뭉친 한국의 리눅스 벤처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미지리눅스를 개발한 업체로 유명하다. 최근에는 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리눅스 1
백
만개 보급 운동에서 중심 역할을 수행중이며, 북한에도 2만개의 미지리눅스를 보내기 위해 민간단체와 협의 중이다. 북한이 ‘바세나르 협약’에 묶여 윈도가 수입될 수 없는 상황인데, 이것이 오히려 ... ...
한국의 공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보고돼 당시 다양한 새가 한반도에 서식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들은 또한 중부
백
악기에 이미 다양한 물떼새가 진화했음을 증명하고 있다.누구나 발견할 수 있어우리나라는 공룡화석을 포함한 육상척추화석이 산출될 좋은 지질학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현재까지 경상누층군으로부터 풍부한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지킨다.하얀색의 원통형 태양망원경은 5개의 작은 망원경으로 구성돼 있다. 태양의
백
색광을 관측하는 망원경, 수소원자핵인 H-알파선을 관측하는 망원경, 태양 표면의 자기장 변화를 검출하는 VMG와 LMG 망원경, 마지막 하나는 태양의 원반을 따라가면서 기기 전체를 가이드 하는 망원경이다. 이중 ... ...
현상공모 유전자 개수를 맞춰라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포함된 부분을 찾아내는 형식으로 계산했더니 인간의 유전자 개수는 2만7천7
백
-3만4천3
백
개로 추정됐다. 미국 워싱턴 대학의 필 그린 박사 역시 이와 유사한 수치를 제시했다. 심지어 미국 국립 인간게놈 연구소의 콜린스 박사는 4만8천11개라는 매우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기도 했다. 인간이 다른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형성하기 위한 세포 융합을 일어나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게다가 이 막단
백
질은 산모의 항체가 태아를 이물질로 인식해 공격하는 것을 막는 면역억제력도 가지고 있다 ... ...
티코 브라헤와 초신성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베셀에 의해 처음으로 관측됐다. 베셀의 관측기구는 티코가 사용한 장치보다 정밀도가 2
백
배 이상 높은 것이었다.하지만 티코는 행성들이 밤하늘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설명하려면 지구중심설보다 태양중심설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태양중심설과 지구중심설을 절충한 새로운 ... ...
④ 생태 :
백
두대간으로 이어진 한 몸의 남과 북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생태분야도 원활한 교류가 이뤄질 것을 기대한다. 또 이번 기회에 철책을 없애 진정한
백
두대간을 만드는 것은 어떨까. 생태분야의 남북한간 교류와 협력은 통일 한반도의 자연환경을 보전해 한반도뿐 아니라 세계 환경에도 이바지하는 길이다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