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을 삼키는 비누방울과 네모난 비누방울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넣을 수 있을 겁니다. 비눗물이 잘 묻어 있도록 만든 둥그런 모양의 비누막 뜨개를 큰 쟁
반
모양의 그릇에 담은 후 양쪽에서 손잡이를 이용해 살짝 들어올리면서 바람에 의해 꺼지지 않도록 잡아 당기면 사진과 같은 훌륭한 비누막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집에서 하기에는 너무 힘이 든다구요? 그럼 ... ...
소행성, 지구와 충돌 가능성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5-l0m이며 지구에 17만km까지 접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반
. 이 소행성은 1991BA(앞의 숫자는 발견 연도)라 명명됐다.원래 소행성은 토성과 목성 궤도사이에서 집단으로 태양을 돌고 있는 집단. 이 지점을 소행성띠라고 부른다. 행성이 되려다 실패한 태양계의 미숙아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장군들의 이름이 붙여졌다.그리고 아주 교묘하게 틀린 부분을 삽입해 놓고는 신입생들의
반
응을 지켜 보았다. 이 전통의 영향으로 몇몇 에콜 노르말 졸업생들이 만든 수학연구그룹이 부르바키그룹으로 발전될 때 그룹이름을 프랑스의 잘 아려지지 않은 19세기에 활동한 장군 이름인 부르바키(Nicolas ... ...
4. 원자핵·전자 속의 또다른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전자란 더 이상 구조가 없는 점과 같은 입자(영어로 point particle이라 함)로서 그 크기는
반
지름이 ${10}^{-20}$㎝보다 작다는 것을 알아냈다. 전자는 원자핵처럼 구조가 있는 소립자가 아니며 강한 상호작용도 하지 않는 것이다.사실상 자연에 나타나는 모든 물질은 u쿼크 d쿼크 그리고 전자로 구성돼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면에서 비슷한 점이 많다. 홋호멍게라고 불리는 신생아 궁둥이에 나타나는 푸른 색
반
점(斑点)도 우리와 동질감을 느끼게 해준다.울란바토르에 있는 국립극장에서 야탁이란 악기를 보고 놀랐다. 우리나라 가야금과 너무나 흡사했기 때문이다. 한국의 가야금이 12줄인 데 비해 야탁은 한 줄 많은 1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처방이 이뤄질 것이다.일
반
기업들이 더 관심을 가져색채에 대한 연구는 과학자보다 일
반
기업에서 더 몰두하고 있는 것 같다. 물론 연구의 질로 따지자면 많은 차이가 있지만 기업체에서는 나름대로 자사의 상품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를 위해 색채 선별에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이다. 근로자의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부상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프랑스에서 재처리한 플루토늄 1t을 싣고 지구를
반
바퀴나 항해한 일본의 플루토늄 수송선 아카쓰키호가 지난 1월 5일 이 바라키현 도카이무라 일본원자력발전소 전용항에 도착했다. 이날 현지에서는 세계적인 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와 일본 민간단체들이 ... ...
첨단 수송장치 PRT현실화될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능력을 십분 이용하면 PRT는 정말로 손쉬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거든다.
반
은 택시,
반
은 기차처럼 생긴 신속한 개인용 수송장치(PRT)가 과연 교통지옥에서 우리를 해방시켜 줄 수 있을까 ... ...
수리(數理)로 풀어본 '미의극치' 황금분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용해 여러 아름다운 예술작품을 만들어낸 것은 어쩌면 당연한 지도 모른다.
반
면 과학자들로부터는 그다지 사랑받지 못했던 것 같다. 아마도 황금분할을 예술적인 비례로만 여기는 까닭에 그런 것 같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와 과학기술의 급속한 진보, 특히 컴퓨터의 발달로 과학과 예술이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혜성은 5등급대의 밝기를 유지하며 계속 남쪽으로 내려가지만 박명시의 혜성 고도는 별
반
낮아지지 않아 계속적인 관측이 가능했다. 이 혜성 관측의 마지막 시기는 12월 중순이었다. 혜성의 근일점 통과일인 12월 12일은 초저녁 무렵에 달의 영향에서 벗어나 관측할 수 있는 때로 많은 아마추어들이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