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사진을 보더라도 사진 속 동물이 고양이인지 강아지인지 잘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를 바로 ‘딥러닝(Deep Learning)’이라고 부릅니다. 데이터는 석유와 비슷 현재 딥러닝을 비롯한 학습 기반의 각종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처럼 딥러닝이라는 컴퓨터 관련 ...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작품을 만듭니다.지마의 마지막 작품이란 결국 존재의 근원이었습니다. 지마 블루란 바로 지마가 최초로 인식했던 수영장 타일의 색이었지요. 예술적 영감의 근원을 찾아가다가 결국 자신의 근원에 도달했던 것입니다. 카운트 제로에서 상자를 만든 인공지능은 과거에 대한 그리움에서 영감을 받아 ... ...
- [중국유학일기] 8시 등교, 6시 하교, 6일 수업 실습 프로그램 ‘866’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학기에 듣는 수업만 보통 12개인데, 실습 프로그램은 2학기 기말고사가 끝난 뒤 3일 만에 바로 시작했다. 게다가 실습 프로그램이 끝난 뒤에도 다른 선택과목을 듣기 때문에, 실질적인 방학은 약 6주밖에 안 된다. 하지만 중국 대학생들은 그 와중에도 해외 교류 프로그램에 다녀오고, 3학년 때는 ... ...
- [8월 입시정보] 입시초보를 위한 맞춤형 입시정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이투스 풀서비스 바로가기 >>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일관된 흑점 기록이 중요한 단서태양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 중 가장 흥미로운 현상은 바로 ‘흑점의 활동’입니다. 흑점은 강한 자기장에 의해 에너지가 이동하지 못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태양에서 주변보다 낮은 온도를 지녀 검은 점처럼 보입니다. 이 흑점은 개수가 많아졌다가 줄어드는데요, ... ...
- 취미생활파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교수가 취미 생활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더 활발해지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뇌의 바깥쪽 측두엽과 두정엽, 안쪽 전전두엽을 일컫는 ‘디폴트 네트워크(default network)’죠. 우리의 뇌는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활성화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창의력과 밀접한 디폴트 ... ...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수학 이야기를 나누던 오일러 앞에 맞수가 나타났다. 바로 조선의 수학자 최석정! 누가 진정한 마방진의 고수인지 가리기 위한 대결을 하러 왔단다. 뜬금없이 펼쳐지는 두 수학자의 대결, 과연 최종 승자는 누구일까? 마방진을 푸는 한 방법인 ‘직교라틴방진’을 연구한 두 수학자 최석정과 ...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통제할 방법이 없었다. 여기서 나이트로글리세린의 폭발성에 주된 역할을 하는 원소가 바로 산소 원자에 둘러싸인 질소다. 알프레드 노벨은 실험을 통해 나이트로글리세린에 규조토를 섞으면 폭발력을 제어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토대로 그는 폭약의 대명사 ...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각종 과학 개념도 연구해 작품에 응용했습니다. 그렇게 만든 터렐의 작품 중 하나가 바로 이 공간에 있는 ‘간츠펠트’입니다. 밖에서 봤을 때는 계단 위에 네모 반듯한 캔버스가 붙어있는 줄만 알았는데, 계단 위로 올라 안으로 들어가면 또 다른 세상이 펼쳐집니다. 캔버스가 아닌 발을 내딛고 ... ...
- 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다양한 색깔의 로봇과 여러 인종의 사람 사진들을 순간적으로 보여주고 위험한 인물인지 바로 판단하도록 시킨 거죠. 실험 결과, 대부분의 실험자들은 흑인과 검은색 로봇을 더 위협적이라고 답했어요.바트넥 교수는 “로봇을 연구할 때 우리의 무의식 속에 깊이 숨어 있는 인종차별주의를 주의해야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