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를 담는 그릇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통해 하루 동안 생성됐다가 사라지는 정보의 양은 우리가 책이라는 형태로 물려받은
문화
유산의 총량보다 많을지도 모른다.인간이 다른 생명체와 달리 문명을 공유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은 바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동굴이나 무덤의 벽화에 저장하던 원시적인 정보 ... ...
Ⅳ. 중세의 천장은 왜 고딕식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음향은 공간의 생김새나 건축적인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고대의 야외극장에서 소리가 잘 들리는 비결은 바닥의 기울기 때문이다. 콘서트 홀의 객석을 계단식 ... 설계된 대표적인 전문공연장이다. 우리나라에도 외국과 견주어 부족하지 않는 훌륭한
문화
공간들이 탄생하기를 기대해본다 ... ...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의 날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발명학회는 이듬해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잡지인 ‘과학조선’을 창간하면서 새로운
문화
운동을 전개했다. 일종의 과학계몽운동이자 과학문맹 퇴치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김용관은 과학조선에 게재한 ‘과학의 민중화’라는 글에서 “우리 조선과학계도 각 전문 대가가 통속(대중)저술에 힘쓰고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각종 아이콘은 ISO에서 인증된 국제적인 통용 마크다.하지만 난점이 많다. 가장 큰 문제는
문화
권마다 똑같은 아이콘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의 아이콘은 주로 영어권 사용자를 염두에 두고 개발된 것이 많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작동시키는 아이콘으로 ... ...
한국과학
문화
종합정보망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과학은 놀이동산에서처럼 체험할 때 그 재미를 만끽한다. 한국과학
문화
재단이 오는 4월 선보이는 한구과학
문화
종합정보망(KOSCINET)은 다양한 과학테마 ... 사이버 과학
문화
공동체를 만들어 각종 과학동호회들의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과학
문화
종합정보망은 2000년 12월에 최종 완성된다 ... ...
유령은 왜 나타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EVP연구에 매달린 사람이 몇몇 나타났으나 헛수고로 끝났다.유령의 존재는 인류의 모든
문화
와 역사의 기록에 나타난다. 가령 ‘성경’에는 유령 이야기가 심심찮게 나온다. 또한 각종 통계에 따르면 유령의 존재를 믿거나 직접 체험했다는 사람의 비율이 결코 낮지 않다. 귀신을 다룬 영화나 방송 ... ...
한국과학
문화
재단 조규하 이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요즘 별보기에 흠뻑 빠져있다. 별이 뜨면 부인과 함께 밤하늘여행을 떠난다고 한다. 과학
문화
운동을 몸소 체험해보려고 한 것이 아마추어가 돼버린 것이다. 언론계, 재계, 정치판을 누볐던 호랑이가 해가 지면 떠오르는 금성, 목성, 시리우스를 가리키며 별 이야기를 하는 것도 아름다운 일이다 ... ...
마음의 괴로움이 병을 부른다 '심신의학'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속탄다” “속끓는다” “열불난다” 이런 식이다.정신과 영역에서도 홧병은 한국의
문화
와 관련된 특유의 질병으로 인정돼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행하는 정신질환분류(DSM-IV)에 ‘Wha-byung’이라고 독립된 질병으로 기술돼 있다. 하지만 좀더 많은 연구가 뒤따라야 홧병에 대한 정확한 원인과 ... ...
③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아울러 교육분야에까지 영향을 미친다.해방 전까지 우리 민족은 각지방 고유의 향토
문화
와 사투리가 있었지만 표준말에는 남과 북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군과 소련군이 남쪽과 북쪽에 각각 들어오면서 한반도는 나뉘어졌고 지금도 이런 상황은 계속되고 있다. 이렇게 ... ...
작가 송지나가 본 과학,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커녕 이렇게 공부해서 어쩌려느냐는 수모를 주는 이희정 교수는 차라리 이러한 우리 과학
문화
의 편협성에 대적하고자 하는 작가 자신인지도 모르겠다. 제자들의 열정과 고뇌가 왜 대견하지 않으랴만 척박한 토양을 이기고 이루어내야 할 희망찬 미래가 그들의 어깨에 걸려있다는 절박함이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