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콜리즘의 심리학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탓인 것이다.한편 얼굴이 화끈거리는 것은 실제로 체온이 상승하기 때문이 아니라
다만
그렇게 느낄 뿐이다.음주량이 많아지면 알콜은 완전히 산화되지 않고, 중간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의 형태로 남게 된다. 이 아세트알데히드가 바로 음주 후 두통과 숙취의 원인 물질.상습적인 음주는 간(肝)의 ... ...
엎취락 뒤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1호와 2호를 발사했다. 그중 포보스 1호는 조정 잘못으로 인해 이미 고장난 상태다.
다만
금년 1월에 화성궤도에 진입할 포보스 2호의 성과가 기대된다.반면 미국은 이미 바이킹탐사선을 화성에 착륙시켜 많은 자료를 얻었다.우주정거장 건설은 소련이 앞서소련은 지구 궤도에 우주정거장을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또 어째서 이런 독을 가진 동물이 살아 있을 수 있는가. 이런것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최근에 테트로도톡신의 구조 일부를 달리한 동족체가 몇개 발견되었다. 이것이 독의 합성과 관계되어 있는것이 아닌가하여 지금 추적중이다 ... ...
국내최초로 「용오름」촬영에 성공 울릉도 앞바다의 500m 물기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5할 가량 점유하고 있었다. 한편 지상에서는 특징지을만한 기상변화는 없었으나
다만
해수온보다 기온이 섭씨 2.5도나 낮았다.울릉도의 용오름현상은 1985년에도 가을철에 동쪽 해상에서 비교적 뚜렷한 용오름이 발생한 적이 있다고 전해지며, 선원들에 의하면 가끔 항해시 해상에서 작은 규모의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잡는다. 아주 세게 잡으면 빼내기가 힘들 정도다. 그러한 반사는 발바닥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발가락은 완전히 구부릴 수 없기 때문에 발바닥 쪽으로 약간 구부릴 뿐이다.또 아기를 엎어놓아 보라. 일부러 코와 입이 막히도록 얼굴을 엎어놓아도 금방 옆으로 돌이킨다. 가끔 고개를 약간 들기도 ... ...
컴퓨터사회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법 행정전산망 사업과 병행 추진해야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온라인 이용이 가능해진 전산시스팀에서의 수집제약은 기술상 별 의미가 없다.
다만
입력시 프라이버시 침해를 야기시킬수 있는 항목의 선정을 배제하는 것과 같은 부분적 방법만이 실효성있는 방책으로 남아있다. 실제로 정보의 수집, 입력단계에서의 실효성있는 규제방책은 수집된 정보가 ... ...
겨울여왕이 펼치는 동화의 세계 얼음꽃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발견할 수 있다. 나는 지금 그 경이의 한가운데에 있는 것이다. 섬세한 아름다움은
다만
숨을 들이키게 할 뿐 소리를 조금만 크게 질러도 샹들리에의 크리스탈이 한순간에 깨어져 흩어지듯 산산이 부서질 것 같이 느껴진다.모양도 다양하여 눈물방울 같은 것도 있고 침봉(針峰·꽃꽂이 도구)같은 것도 ... ...
불면 불몽의 건강학 마음먹은대로 잠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기억 속에서 곧 사라지기 때문에 꿈의 정체를 파악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다만
확실한 것은 아무리 밤새도록 꿈을 꾸었다고 말하더라도 실제로 꿈을 꾼 시간은 전 수면시간의 4분의 1밖에 안된다는 사실이다.뇌파기를 통해 연구해 보면 잠의 상태를 시간대별로 체크할 수 있다. 잠든지 ... ...
학력고사 출제위원장이 들려주는 얘기 "열가지 기능보다 한가지 이론이 더 낫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있기 때문이다.그렇다고 이면에 비리나 부정이 있어 그것을 은폐하려는 시도는 아니다.
다만
중대한 입시관리를 보다 신성시하고 성역시해서, 권위를 부여해 주기 위한 배려라고 볼 수 있다. ●―한달간의 감금생활을 통해그러나 독자들은 누가 어떤 경위로 출제위원으로 선출되는지 궁금할 ... ...
실험실의 복병, 생물재해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학교의 병리·해부학교실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을 뿐 생물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아무도 사실조사를 하지 않았을 따름이다. 그렇다면 과거에 경험한 바 있는 생물재해가 어째서 사회에 부각되지 않았고 그 구체적인 대책마저도 현재까지 마련되지 못하였는가. 우리나라의 전문기술직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