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뉴스
"
이론
"(으)로 총 2,864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기술에 집중돼 있다. 투과전자현미경은 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신 관찰법이다.
이론
적으로 피코미터(pm·1pm는 1조분의 1m)급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이 현미경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만만치 않은 기술이 필요하다. 내부가 진공이어서 액체 시료를 넣으면 관찰하기도 전에 증발하기 때문이다. 이를 ... ...
난임 문제 해결할까...배아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9.21
있기 때문이다. 배아 발달 단계에서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하는 가족력 질환 치료를 위한
이론
적 근간도 마련된 셈이다. 니아칸 교수는 “유전자 가위를 배아 발달 단계에 적용해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며 “OCT4 외 다른 유전자도 하나씩 멈춰가며 작동 과정을 확인한다면 생명 ... ...
국내 연구진, 미래형 컴퓨터 실용화 앞당기는 미지의 입자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7.09.19
수 있지만 실제로 입자가 존재하지 않아 과학계에서는 준입자라고도 불린다. 이 입자의
이론
적인 존재는 과거부터 알려져 있었다. 에너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단위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양자컴퓨터의 소자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최근 10여 년간 학계의 관심을 받았지만 실제로 ... ...
한국과학계 위한 ‘슈퍼컴 5호기’ 도입 확정… 세계 10위권 성능
동아사이언스
l
2017.09.18
슈퍼컴퓨터 5호기의 5배에 달한다. 2위인 중국 광저우 국립슈퍼컴센터의 ‘텐허-2’는
이론
성능 54PF로 두 배 이상 빠르다. KISTI는 지난 해 부터 슈퍼컴퓨터 5호기 도입을 준비해 왔다. 2016년 5월 30일까지 제안서 접수를 받고 6월부터 슈퍼컴 5호기 구축 업체 선정을 위해 평가를 진행했다. 이후 6월 8일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연구진은 토스터 크기의 이 작은 탐지기로 43년 만에
이론
으로만 제기돼 왔던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을 처음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결맞음 상호작용은 파동 성질을 가진 중성미자가 원자핵을 미세하게 흔드는 현상이다. 질량이 극도로 작은 중성미자는 ... ...
제주 하늘 아래서 일식 체험 함께 나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2
과학과사람들에서 함께 활동하는 이종필 건국대 상허교양대학 교수는 일식 현상을
이론
적으로 설명할 계획이다. 걸스로봇 제공 이명현 갈다 대표는 천문학자의 꿈을 꾸는 어린 시절부터 연세대 천문학과 교수를 거쳐 과학책방 주인으로 변신한 스토리를 소개한다. 천체사진 전문 작가이자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현상으로 이들의 이름을 따 ‘보스 아인슈타인 응축(BEC)’ 현상이란 이름이 붙었다. BEC의
이론
적 현상이 제기된 진 오래지만 실제 실험실에서 이 현상을 증명한 건 불과 20년 밖에 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왜 눈에 보이지도 않는 원자의 거동을 연구하려 끊임없이 노력할까? 이번 주 ... ...
[돈테크무비] 시저는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를 막 넘어섰나?
2017.09.10
이론
은
이론
일 뿐, 진리일 수 없다는 주장은 다른 한 편에서 계속 제기되어 왔다. 심지어
이론
을 창시한 마사히로 모리 조차도 불상을 예로 들며 사람보다 사람의 형상을 한 것이 더 호감을 주는 사례가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을 피력하기도 했다. 독실한 불교 신자로서 ‘로봇 안의 부처’ 등의 저서를 ... ...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09.09
데 성공했다. 시험 주행 트랙의 길이가 짧아서 가속장치를 300m밖에 사용하지 못했는데,
이론
적으로는 2km를 더 가속시키면 시속 1100km에 도달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100년 전 꿈 되살린 일론 머스크 진공 상태의 터널 안에서 달리는 열차에 대한 아이디어는 사실 100년도 전에 나온 개념이다. ... ...
모세혈관, 장기에 따라 형태-기능 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8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 혈관의 특징을 규명하면 효과적 치료 물질을 발견하는 데
이론
적 뒷받침이 된다. 뇌의 연속성 모세혈관은 그 구조로 인해 병원균은 물론이고 항체나 약물도 통과할 수 없다. 이를 통과할 수 있는 물질은 특수 처리한 포도당, 철분 정도다. 신경과 관련된 약물을 설계하고,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