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체현
실현
형상화
구상
인격화
전형
뉴스
"
구현
"(으)로 총 3,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컴퓨터의 산실 ‘IBM 리서치 취리히’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2015년 IBM이 개발한 큐비트 회로. 양자중첩 현상을
구현
할 수 있다. IBM 리서치 제공 IBM 리서치 취리히에서는 현재 2개의 큐비트를 만들어 실험 중이다. 경쟁사들이 수십 개의 큐비트를 가진 양자컴퓨터를 앞다퉈 발표하는 데 비하면 적은 숫자였다. 기존 컴퓨터의 ... ...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현충민 프로와 백영현 연구소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파트장은 전기밥솥에 적외선 감지부를 적용해 다양한 밥맛을
구현
할 수 있는 온도 제어 연사방식을 개발했다. 강 연구원은 인터넷 환경과 이동통신 환경의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두 여성 엔지니어는 주방 가전 시장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 ...
[과학게시판] 2019 양자컴퓨팅 국제컨퍼런스 11~12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선구자인 배리 샌더스 캐나다 캘거리대 교수, 초전도 큐비트를 세계 최초로
구현
한 나카무라 야스노부 일본 동경대 교수 등 해외 석학과 국내 연구자가 모여 연구동향을 공유한다. 컨퍼런스 사전 등록은 8일까지 양자정보과학기술연구회 홈페이지(http://quist.or.kr)에서 할 수 있다. ■ ... ...
별 관측 기술로 암세포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위해 개발한 장비로 유전정보를 분석하거나 지구보다 중력이 훨씬 작은 미세중력 환경을
구현
하는 장비 내에서 세포를 관찰해 유전자 변이나 질병 원인, 발병 과정을 연구하기도 한다. 거꾸로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기술을 천문학에 활용한 사례도 있다. 2009년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지금으로부터 ... ...
“한국, 제조업 혁신 컨트롤타워 부재...과기혁신본부는 규제개혁만 외쳐”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제시했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
한 것을 말한다. 최 부장은 “디지털 트윈을 통해 이전에는 로봇과 원자재, 인간을 투입해 테스트해봐야 했던 것을 시뮬레이션만으로도 계획을 짤 수 있게 됐다”며 “이를 통해 효율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 ...
최첨단 나노기술 만나는 ‘나노코리아 2019’ 역대 최대규모로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포상도 진행됐다. 광신호전달 과정의 공간·시간적 대칭성을 극복한 나노광소자 설계 및
구현
기술을 개발한 송석호 한양대 교수와 30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 나노소자 측정이 가능한 반도체 인라인용 3D 원자현미경을 출품한 파크시스템스가 각각 연구혁신과 산업기술 분야 ... ...
인공지능 기술로 효소 기능 정확히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특훈교수. KAIST 제공. 인공지능(AI)을
구현
하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효소의 기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KAIST는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와 김현욱 교수가 구성한 초세대 협업연구실 공동연구팀이 세포의 대사과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효소의 기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 크기로도 가능해 1만4000dpi(인치 당 화소수)의 해상도가
구현
할 수 있다. 반면 일반 잉크젯 프린팅의 해상도는 아무리 좋아도 1200dpi 수준이다. 잉크 방울의 크기를 더 이상 줄일 수 없기 때문이다 고 교수는 해설에서 “예전에는 쓸모없다고 치부되던 현상을 이용해 ... ...
2차전지 에너지 밀도 높일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말했다. 이 교수는 “전지를 구성하는 ㎛ 단위의 전극 활물질 단입자를 개별적으로
구현
하고 분석하는 모델을 개발한 것이 기존 연구와 차별점”이라며 “개발한 전기화학모델을 활용해 전기차의 전지 효율을 개선하는 연구에 접목하는 것이 향후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지훈 DGIST ... ...
“무어의 법칙 한계를 뛰어넘어라”… 차세대 정보저장 기술개발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자들은 이 개념을 실제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 속 전자를 이용해
구현
하고 있다. 고체의 원자에는 수십 개의 전자가 갇혀 있다. 도체일 경우 이들 사이를 돌아다닐 수 있는 전자인 자유전자가 있는데, 전류를 흘린 뒤 이 자유전자를 이용해 원자 속 스핀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