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00년도 더 전인 1910년 시작됐다. 당시 과학자들은 고농도의 구아닐산(구아닌에 인산기 하나가 붙은 화합물)으로 겔(gel)을 만들어 4중나선 구조를 연구했다. 그리고 50년 뒤 연구자들은 드디어 겔을 말린 구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구아닐산 4개가 모여 사각 구조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후 ... ...
- [과학동아 X 긱블] 태풍에 우산 작살난 사람들을 위한 잇템, 에어 우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좁게, 공기는 빠르게 찬스 님은 문제점이라 생각한 두 가지를 바꿔보기로 했습니다. 하나는 에어 컴프레서가 아닌 에어 블로어를 이용하는 겁니다. 에어 블로어는 모터를 이용해 공기를 빠르게 내뿜는 장치인데요. 바꾼 근거는…. 사실 딱히 없습니다. 에어 컴프레서로 안 됐으니, 일단 다른 도구를 ... ...
- [과동키즈] 치료에서 변호로 꿈은 변하는 것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레고리 하우스가 질병의 원인을 분석하고 치료를 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진료기록을 하나씩 꼼꼼하게 분석해서 문제의 원인을 추적한다. 의료사건을 진행하다 보면 내가 마치 셜록 홈즈와 같은 탐정이 돼 미궁에 빠진 사건을 추적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의학, 생명공학, 과학이 어우러진 ... ...
- [나의 독일유학일기] 동호회, 드라마, 쇼핑 독일어 노출 늘리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독일 드라마가 재미없게 느껴진다면 독일어로 더빙한 미국 드라마를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드라마를 그냥 보기만 해도 도움이 되지만, 드라마에 반복적으로 나오는 단어를 찾고 외우면 어휘력은 더 빨리 는다. 이건 내 경험담이기도 하다. 처음 독일어를 배울 때 나는 미국 코미디 드라마 ...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연구원은 “자비스 같은 다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AI 인공지능 비서를 만든다면, 하나의 기기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며 “클라우드 기술과 AI 기술이 고도화되고, 융합하면 자비스처럼 수많은 정보를 분산 저장, 처리하는 AI 인공지능 비서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 ...
- [수학뉴스] 전염병 확산 모형으로 예측한 홍수의 진행 방향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어떻게 퍼져나갈지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은 전염병 확산 모형의 하나인 ‘SEIR 모형’의 원리를 그대로 따르는 새로운 홍수 예측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SEIR 모형에서 감염 대상군인 S는 홍수로 넘친 물이 흘러올 수 있는 길, 접촉군인 E는 인근 수로나 빗물 때문에 물이 차오르기 ... ...
-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보였어요. 가장 큰 차이점은 결제하는 계산대가 없다는 것이었죠. 매장을 돌아보며 음료 하나와 화장품, 컵라면을 골라 들었어요. 이후 매장을 나오기 전 선택한 상품 중 컵라면은 제자리에 두었지요. 총 두 개의 상품을 들고 출구 앞에 서자 문이 저절로 열렸고, 가게 밖으로 나왔어요. 순간,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밀도만 높을 뿐, 크기는 야구공보다 약 1조 배나 작기 때문이에요. 총 에너지가 작은 사탕 하나를 약 30조각으로 쪼개 한 조각만 먹으면 얻을 수 있는 1kcal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지요. 사탕이 우주를 위협할 수는 없을 테니, 미니 빅뱅 역시 인류를 위협한 적이 없답니다. ‘아기 우주’의 기본 ... ...
- [이달의 과학사] 사상 최대의 지진, 칠레를 휩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진동이 종이에 기록되죠.밀른의 지진계는 상하, 전후, 좌우 세 방향의 운동을 감지하여 하나의 종이 두루마리에 기록했고, 사람은 느낄 수 없는 먼 거리의 지진도 측정했어요. 이전보다 민감하게 지진의 세기를 기록하는 밀른의 지진계는 세계로 퍼져 지진 연구에 혁명을 가져다주었답니다 ... ...
-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군체 안에서 어떤 개체는 먹이를 먹는 역할을 하고, 또 다른 개체는 생식을 맡는 등 마치 하나의 생물인 양 서로 역할 분담을 해 함께 살아간답니다.연구팀은 가장 바깥쪽 동그라미를 이루는 군체의 길이를 약 47m로 추정했어요. 이를 바탕으로 전체 길이를 추산하면 120m 정도였죠. 연구에 참여한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