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찾기 위해 우주에 띄운 실험실이지요. 그리고 ISS에서 얻은 실험 결과들은 미래에 사람이 직접 ●심우주를 탐사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단서가 될 거예요. 즉, ISS는 본격적인 우주탐사를 위한 전초기지인 셈이에요. ●심우주:달보다 먼 거리의 우주를 일컫는 말. 현재 ISS는 미국, 러시아, 일본 등 16개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보고 자동으로 분류하죠. 그때는 막연히 농장 자동화를 하고 싶다고만 생각했는데, 직접 딸기 농사를 지으면서 절실해졌어요. 봄에 딸기가 막 나오는데 3일 밤을 새도 딸 수가 없는 거예요. 나만 이렇게 힘든가 싶어서 억울하다는 생각마저 들었어요. 그래서 아는 프로그래머 형에게 딸기 따는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1년 동안 ISS에서 생활하면서 배출하는 쓰레기는 약 2500kg에 달한다. 현재는 우주인이 직접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를 넣어서 모은 뒤, 이를 지구로 귀환하는 우주선에 한꺼번에 실어 처리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는 쓰레기가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과, 지구 궤도를 벗어나 먼 우주로 탐사를 떠날 때엔 이런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지난 10월 13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충남 서천에 위치한 국립생태원에 모였어요. 이날 대원들은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김수환 ... 탐사 후 채집한 물고기를 가져가긴 처음”이라며, “외래종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 축제는 로봇도 춤추게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구슬아이스크림을 잔뜩 만들었어요. 문유비 기자는 “평소에는 사먹기만 하다가 직접 만들어 먹고 과학도 배우니 정말 재밌다”고 말했답니다. 이게 마술이야, 과학이야? 페스티벌 전시장에는 마술쇼 같은 부스도 있었어요. 국제과학교류전에 참가한 미국 미주리대학교 물리천문학부의 스티븐 ... ...
- 노벨 생리의학상, 암 정복의 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먼저 알아채고 ‘T세포’라는 면역세포에게 알려주지요. 그러면 T세포는 감염된 세포를 직접 죽여서 침입자를 제거한답니다. T세포는 암세포도 마찬가지로 침입자라고 인식해요. 하지만 암세포는 T세포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T세포가 특별한 단백질을 만들어 내도록 하지요. 그 단백질이 바로 ... ...
- [현장취재]모였다! 어과동 만.찢.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때 당황했는데, 한 친구가 다시 쌓으면 된다고 편하게 말해줘서 고마웠다”며, “직접 독자를 만나 재밌는 시간을 보냈다”고 소감을 말했어요. 김민범 친구는 “팬파티에 초대된 것만으로도 감사한데 선물까지 받아 정말 기쁘다”고 말했답니다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혹시 우리나라에는 어떤 여성 과학자분들이 계실까? 우리나라 여성 과학자들을 직접 만나봤어! ●“나노 물질의 독성을 연구하고 있어요!”_박은정(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융합건강과학과 교수)Q과학자가 되기까지 고생이 많았다고 들었어요.결혼하고 나서 뒤늦게 과학자가 되기로 ... ...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자가 되는 방법 大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매미 약충을 어떻게 채집할 수 있었을까요?“이 매미 약충은 잡은 게 아니라, 저희가 직접 키운 거예요. 최근 우리나라 최초로 실험실에서 매미의 알을 인공 부화시키는 데 성공했답니다! 수백 개의 알 중에서 2~3개의 알만 부화에 성공했을 정도로 어려운 도전이었지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 만큼 ... ...
- 고인류, 식인 풍습의 이유를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사람 살 조직의 단백질이 발견됐어요. 고인류가 사람을 먹는 식인 풍습을 지녔다는 직접적인 증거였지요. 하지만 아직도 고인류가 인육을 먹었던 이유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해요. 그런데 작년 영국 브링턴대학교 제임스 콜 교수는 인육의 영양가를 따져 식인 풍습의 이유를 추론했어요. 초기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