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변"(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놀라게 만들었지요.19일 일본 교토대학교의 지진연구소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분화구 주변에 발생한 산사태가 아소산 아래 마그마방의 화산가스나 수증기를 자극했다고 분석했답니다. 지진의 흔들림이 마그마방을 직접 흔든 것은 아니지만, 지진이 화산 분화의 원인이 될 수는 있다는 이야기지요 ...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원리까지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윤건수 교수는 “목성 표면에 있는 대적반이 주변 난류와 상호작용하면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 8월 12일자에 게재됐다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람들이 모여있을 것”이라며 가장 먼저 꼭대기 층으로 안내했다. 탁 트여 연구소 주변 경치가 내려다보이는 연구소의 ‘로얄층’은 다름 아닌 식당이었다. 8월 초라 휴가를 떠난 사람이 많았지만, 꽤 많은 연구원들이 삼삼오오 둘러앉아 커피와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고 있었다. 이 연구원은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현상을 개체군 점성이라 한다. 이 경우, 내유전적 혈연을 번거롭게 식별할 필요 없이, 주변 이웃 가운데 아무나 붙잡고 무차별적으로 도움을 주는 행동이 진화할 수 있다. 해밀턴은 “점성이 큰 개체군을 지닌 종에서는 도움 행동이 가장 흔하고 정교하게 나타나지만, 점성이 낮아 이주가 자유롭게 ... ...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모양의 깃털에 작은 갈퀴들이 있는 것을 발견했어요. 갈퀴들이 서로 붙들고 있는 덕분에 주변 깃털이 흔들려도 눈알 모양 깃털은 가만히 있을 수 있답니다.일리 : 나와 함께 공작을 닮은 옷을 만들지 않을래?공작 : 아직도 공작은 관심의 대상이에요. 화려한 외모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
- [헷갈린 과학] 라쿤 VS 너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줄무늬가 있는 라쿤‘너구리’라고 하면 눈 주변의 검은색 털과 줄무늬가 있는 꼬리가 가장 먼저 떠오르지 않나요? 그런데 사실 친구들이 떠올린 동물은 너구리가 아니에요. 이 동물은 ‘라쿤’이라고 불리는 동물이랍니다. 유명한 놀이공원의 마스코트도 너구리가 아닌 라쿤이지요.우리나라에서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발명왕 ‘ 머라도 다맹그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방에 커다란 측우기가 놓여 있었다. 하지만 물이 쏟아졌는지 텅 빈 측우기 주변에 물이 흥건했다.“악! 이 측우기는 항상 물 6L를 채워 놓고 연구를 하고 있었는데 도둑이 엎질렀나봐요. 썰렁홈즈, 이 측우기에 다시 물을 정확히 6L만 채워 주세요. 단, 눈금 없는 이 두 용기를 이용하는 게 규칙입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재료를 이용해 신나는 음악을 연주할 수 있을까요?힌트 하나. 소리는 진동으로 전해진다!주변의 물체를 두드려 보세요. 물체가 미세하게 떨리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그리고 그와 동시에 ‘쿵!’이나 ‘챙!’ 하는 소리가 나지요. 이와 같은 물체의 떨림, 즉 ‘진동’이 소리를 만들어내는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따라 진행합니다. 개미들도 이 페르마의 원리를 따른 거예요.그런데 개미들은 초콜릿 주변에 모였지만 섣불리 움직이지 않아요. 지난 7월 MIT 전기공학 및 컴퓨터과학과 카메룬 무스코 연구원은 이 원인을 알아냈어요. 무스코 연구원은 개미들의 행동을 수학적으로 분석했는데, 개미들은 한 장소에 ... ...
- [과학뉴스] 천문연, 한국우주전파관측망으로 태양보다 무거운 별 발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물과 일산화규소가 방출한다. 특히 일산화규소 메이저는 거대한 별이 탄생할 때처럼 주변의 온도와 밀도가 매우 높을 때만 나온다. 이번에 연구팀이 관측한 원시 별 ‘G19.61-0.23’과 ‘G75.78+0.34’는 일산화규소 메이저를 방출했다. 조세형 천문연 연구위원은 “이번 발견으로 거대한 별의 탄생과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