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요정이 사는 세계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성은 우리 얼음 요정의 나라에 있는 것과 정말 꼭 닮았는걸? 어서 들어가 보자!얼음은 그
자체
로 예술인데다가, 아름다운 조각상으로도 변신할 수 있구나. 나도 집 앞에 언 얼음을 모아서 조각상을 만들어 봐야겠어. 앗! 얼음 요정, 나랑 같이 가~ ... ...
기억의 달인이 되는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그룹에게는 기억 할 연도를 달력처럼 머릿속에 그리게 했답니다. 반면 다른 그룹은 정보
자체
만 외우도록 했지요. 실험 결과, 공감각을 이용해 기억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더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심너 교수는 시간 순서를 머릿속에 그림으로 그려 기억하는 것이 더 ... ...
아이폰 vs 옴니아2 당신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기능은 옴니아2의 가장 큰 자랑이오. 우선 화면이 9.4cm(3.7인치)에 이르고 해상도 800×480에
자체
발광형 유기디스플레이인 아몰레드(AMOLED) 창이라 선명하지요. 브라운관 TV보다 액정디스플레이(LCD) TV를 보는 기분이랄까.고화질 동영상(DivX) 재생기능이 있어 옴니아2는 영화보는 데 최고지요. 특히 ... ...
21세기, 철도가 부활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부를 만한 최근의 철도붐이 세계적인 흐름임을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해 말 중국은
자체
기술력으로 평균속력 시속 350km의 고속철을 개발해 광저우~우한 1100km 구간에서 운행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앞으로 고속철도에 우리 돈으로 100조 원 이상을 쏟아 부을 계획이다. 미국 역시 6개 구간의 고속철도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출발할 때 선수들이 썰매를 밀며 달려야 하기 때문에 썰매
자체
의 무게는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선수들은 마찰이 큰 스파이크가 달린 신발을 신고 얼음을 박찰 때 반작용의 힘으로 달려 나간다. 달려 나가는 거리는 15m 정도. 속도는 시속 40km 정도 된다. 모든 봅슬레이에는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살아 있다. 에코투어를 개발하게 된 동기를 묻는 기자에게 긴세이 씨는 “관광산업
자체
가 나쁘지는 않지만 외부 자본이 들어와 자원을 계획성 없이 무작정 개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섬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주민들의 생계에 도움을 주면서, 동시에 섬의 환경과 문화를 후손들에게 ... ...
하루를 25시간으로 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관리하면 자신이 세워 놓은 목표는 자연스럽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결국 시간관리
자체
가 곧 자기관리를 뜻한다는 점에서 시간관리의진정한 목적은 나의 ‘풍요로운 삶’을 가꾸어 나가는 데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 않는다. 바늘 끝에는 약물이 들어 있다.바늘은 다른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바늘
자체
를 약물 원료로 제작해 바늘이 몸속에서 녹아 약물로 작 용하도록 만들기도 하고, 미세한 주사바늘로 피부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위에 패치를 붙여 약물을 주입하 는 방식도 있다. 이런 방식들은 공통적으로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옅은 대기층을 가지고 있으며 대기의 주성분은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이산화황이다. 또
자체
의 자기장이 없어서 목성의 강력한 자기장을 따라 이오에 날아오는 전자들 때문 에 화려한 오로라가 발생한다. 만일 사람이 발을 디딘다면 그만큼 위험한 곳이 이오다.이오 다음에 있는 유로파의 표면에는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또 역고드름을 왜 보기 힘든지도 의문으로 남아 있다. 사실 이 점은 역고드름 연구
자체
의 걸림돌이다. 역고드름이 생성되는 과정을 밝혀내려면 직접 생성 환경을 관찰해야 하지만 일상에서 쉽지는 않다.과학자들은 대신 역고드름을 실험실에서 만들어 보기로 했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물리학자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