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상태
상테
d라이브러리
"
자연상태
"(으)로 총 2,66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20세기 물리학의 근본을 뒤흔든 상대성이론. 이 이론은 어떤 배경하에서 태어났고 그 핵심은 무엇인가.데카르트의 명구를 생각한다. '진실에 이르려면 일생에 한번쯤은 자기가 아는 지식이 몽땅 잘못된 것이 아닐까 의심해 봐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누구든 한번이라도, 멀리 있는 산이 작아보 ... ...
지층·생성기원 따라 물에도 나이가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하수는 땅속으로 서서히 스며들어 만들어졌기 때문에 깨끗하고 일정한 온도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지하수에는 여러가지 화학성분이 용해돼 있으므로 사람에게 대단히 유익하다. 그러나 최근 대도시의 지하수는 음용불가능한 상태로 오염돼 있다.환경의 질적 변화로 인해 지구적 규모 ... ...
동요의 가사 속에만 남아 있는 따오기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따오기의 먹이는 개구리 민물고기 가재 우렁이 등인데, 1960년대 이후 산업화의 물결로 인해 수질과 토양이 오염돼 절멸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농약 과다사용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인다.따오기는 1968년 5월30일 천연기념물 제198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절종위기의 조류다. 19세기 말 한국을 답사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바람을 만들어 내기 힘들다. 좀더 자연풍에 가까운 선풍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연상태
에서의 바람부는 상태를 관찰해 같은 원리로 바람을 일으키는 선풍기를 만들어야 한다. 바람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물의 흐름을 관찰하면 된다.조그만 시냇물이 아무런 장애를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쇠가마우지와 민물기마우지의 번식처로 확인된 것과 북한에서 번식하는 노랑부리백로의 발견, 물범의 서식처 확인이 최대의 수확이었다. 또 모감주나무가 제일 북쪽인 백령도에서 자생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도 큰 수확이었다.■ 첫째날정확히 아침 6시1분 전 탐사단 일행(20명)을 태운 동아문화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초전도현상을 일으킬 때 전자는 파동적 성격을 띤다. 또 저항 없어질 때 전자는 기체상태가 아니라 액체상태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자연계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사실 과학적 사고는 연역적 과정과 환원적 과정, 그리고 발견적(heuristic)과정의 복합에 의해 진행된다. 귀납적 결론 ...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촉매는 물질의 반응속도를 변화시킨다. 촉매는 대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지만 더러는 반응속도를 느리게 하는 촉매도 있다.중세의 연금술사는 구리나 철처럼 값싸고 흔한 금속을 금으로 바꾸어줄 '현자의 돌'을 찾으려 했다. 또 한편에서는 초목이나 돌 등으로부터 불로장생의 약을 만들 수 있는 ... ...
국내지하수 17%가 환경기준을 초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하수는 타물자원과는 달리 제반 오염물질에 오염된 후에는 이들 오염물질이 지하수계 내에서 매우 서서히 움직이므로 희석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들 오염물질은 반영구적으로 지하수계 내에 잔존하게 된다.지하수란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지표면 하부의 포화대 내에 부존돼 있는 천연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인간이 만물의 영장일 수 있는 것은 발달된 두뇌의 덕이다. 우리 몸무게의 2%에 불과하지만 인간 심신의 사령탑 역할을 하는 두뇌에 대해 알아보자.인간의 뇌는 매우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뇌를 크게 나눈다면 거대한 대뇌와 그것을 받쳐주는 줄기에 해당하는 뇌간(중뇌 연수 간뇌), 뇌간에서 척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중생대의 공룡을 현대 유전공학으로 되살린 공상과학영화 쥐라기 공원이 화제다. 고대 호박속에 갇힌 곤충의 뱃속에서 공룡의 DNA를 추출, 현대에 공룡을 되살린다는 소설과 영화의 구상은 과연 어디까지 '과학적'인 것일까.살아 움직이는 것이면 닥치는 대로 물어뜯고 잡아먹는 거대한 공룡 티라노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