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Team Divinity’의 김동현(한국과학영재고 3), 장재훈(한국과학영재고 졸업)군을 지난 2월 서울에서 만나 직접 이야기를 들어봤어요.△김동현 군(왼쪽)과 정재훈 군.Q모두 학교가 다른데 팀은 어떻게 만들어진 건가요?장재훈 저희 팀원들이 원래부터 알던 사이는 아니에요.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고통을 느끼지는 않는다(물론 주변 사람이 그 사람 때문에 피곤할 수는 있다).권준수 서울대 의대 정신과학교실 교수는 “강박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었을 때 강박증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하지만 강박증 환자가 모두 강박적인 성격을 가진 것은 아니다”라고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모아 1세기가 넘은 지배적인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게 된 것”이라고 언급했다.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트라이아이스기초기의 조반류 공룡은 피사노사우루스나 레소토사우루스정도가 있었을 뿐, 특징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모양을 갖춰 발견된 종이 별로 없었다”며 “(이번 ... ...
- [Career] 5G 기술로 자유를 선물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 생각이 머리를 스쳐 지나갔다. 심 교수의 방에 정말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이다. 서울공대카페는 올해 1월부터 연구자에게 의미 있는 물건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물건을 발굴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아무것도 없는 방이라니. “교수님, 방이 정말 깨끗하네요”라는 기자의 말에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아름다운 할머니장수로 향하는 길은 험난했다. 햇빛이 채 창문을 뚫기도 전인 새벽 6시, 서울 용산을 떠나 전북 순창군으로 향했다. 3시간 30분만에 도착한 순창은 정말이지 고요했다. ‘제대로 도착한 게 맞나’ 싶을 때쯤 순창읍사무소가 눈에 들어왔다.전북은 전국에서 제주에 이어 두 번째로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10만 명 당 20명 이상이고, 85세 이상인 사람의 비율이 7% 이상인 곳으로 선정했다. 도시는 서울과 춘천, 두 곳이다.이들의 뱃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은 천차만별이었다. 장수촌의 주민들에서는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프레보텔라(Prevotella), 라크노스피라(Lachnospira)와 같이 유익한 미생물이 많이 살고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해요. ★기사 1. 동아일보 신문박물관신문박물관에서 만든 나만의 신문 (박서준 기자·서울 도성초 1) 동아일보 신문박물관을 다녀왔어요. 제가 태어나기 전에 만들어진 신문과 신문에 실린 광고를 인상 깊게 보았어요. 엄마가 성수대교 붕괴 사건에 관해 이야기도 해 주셨지요. 신문을 볼 때마다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타임머신을 타고 도시를 돌아다니면 시대마다 그 모습이 모두 다를 거예요. 도시의 모습은 계속해서 변해왔기 때문이죠. 무엇이, 그리고 어떻게 도시를 바꾸는 걸까요?8000년 동안 변하고 또 변한 ‘도시’도시는 정치와 경제, 교통, 그리고 문화 등이 발달한 곳이에요. 5000년 전 오늘날의 이라크 지 ... ...
- 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에 도시가 둥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제 육지를 벗어나 바다로 가 볼까요~? 다음으로 소개할 미래 도시는 해상 도시랍니다. 넘실넘실 밀려오는 큰 파도 위에서 건물을 짓고 살 일이 걱정된다고요? 이곳이라면 몇 십 년을 살아도 끄떡없을 거예요!태평양 한가운데 도시가 떠오른다!지난 1월 푸른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는 해상 도시 상상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 ‘밀로의 비너스’처럼 아름다운 조각품도 조각가의 손이 닿기 전에는 볼품없는 청동이나 석고 덩어리였다. 보석도 마찬가지다. 누군가의 손이 닿기 전에는 그저 그런 돌멩이였다. 과연 돌멩이를 아름다운 보석으로 만들어준 조각가는 누구일까? 이 솜씨 좋은 조각가의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