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d라이브러리
"
다리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섬유 한가닥으로
다리
안전 진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한가닥의 광섬유를 심어 어떤 지점에서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어떤 지점에서는
다리
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광통신을 이용하면 수km나 떨어진 곳에서도 센서의 측정값을 금방 얻을 수 있다. 이밖에 전자기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부식과 같은 환경적 영향에 강하고 매우 높은 ... ...
1. 외계탐사 전초기지 우주정거장 24시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우주선 안에 있는 우주비행사의 얼굴이 호빵처럼 부풀어오르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두
다리
는 각각 1L씩 혈액이 줄어 가늘어진다. 이같은 혈압의 변화는 혈압의 차이를 예상하던 신체에 피가 너무 많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우주공간에서 2-3일 정도 지나면 우주비행사는 혈액 총부피의 20 ... ...
초상화 관상법으로 선조 질환 밝힌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병사가 부상당한 늙은 동료병사를 열심히 치료하고 있다. 부상병은 아픔을 참느라 왼쪽
다리
는 벽에 의지하고, 치아 사이에는 무엇인가를 꽉 물고는 고통으로 일그러진 얼굴을 보이지 않으려 고개를 돌리고 있다. 이로 미뤄봐 마취 없이 화살이 박힌 상처를 치료하는 중임을 짐작할 수 있다.이교수는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않는다는 원리를 기초로 하는 이론 표준모형은 게이지 이론의 일종이다체격이 크고 네
다리
로 걷는 초식 또는 잡식성 공룡두 발로 걷는 육식성 공룡기존의 2차원 평면영상과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HDTV의 차세대 주자로 꼽힌다 특수 안경을 ... ...
1. 첨단기술로 가는
다리
소재성형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한국의 주력산업하면 떠오르는 것은 바로 반도체와 자동차다. 이들 제품이 한국의 대표로 떠오르게 된데는 소재성형기술이라는 숨은 공로자가 있었다.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단은 차세대 소재성형기술을 개발해 국내산업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시킬 계획이다.“차세대 소재성형기술은 IT(정 ... ...
4. 사흘만에 10m 교량 뚝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있다. 복합재료의 적용비율은 새로운 항공기가 개발될 때마다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다리
에서 핵융합로까지최근 복합재료는 특히 토목건축 분야에서 신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의 경우 교량을 보수하거나 건설하는데 복합재료를 활용하고 있다. 교량에서 균열이 발생됐을 때 기존에는 강철로 된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속도가 가장 빠르고 가장자리는 마찰 때문에 속도가 느리다. 래프팅을 하면서 또는
다리
위에서 강물의 흐름을 유심히 관찰하면 중심 부분의 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울기와 같은 다른 조건이 같다면 수심이 깊은 곳의 강물이 얕은 곳에서보다 빠르다.한편 강이 굽어지는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해야 하는 일은 인터넷에 접속한 뒤 내 컴퓨터 안에 방을 만드는 것이다. 방을 만들고 기
다리
면 내 컴퓨터에 나와 게임을 하고 싶어하는 다른 플레이어들이 접속한다. 그들은 정찰을 통해 내 행동을 관찰하고 내가 생산한 유닛을 공격한다. 이런 게임을 네트워크 게임이라 부르는데, 요즘 판매되는 ... ...
성지식 과잉세대를 위한 맞춤 강의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이수했다.하지만 첫 교생실습에서 그의 꿈은 깨지고 말았다. “학생들 앞에 서니
다리
는 후들후들, 말은 왜 그렇게 안나오는지.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이마에 땀방울이 맺힙니다”라고 김교수는 첫 교생실습을 회상한다.하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때부터 그는 대중 앞에서 말하는 법에 대해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분야의 학자가 제대로 의사소통을 하기란쉽지 않다.해외 대학에서는 물리학과 생물학의
다리
를 이어주려고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두 분야에 대한 이해가 이뤄지도록 학제간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생물물리 분야는 대개 의대나 생명과학 관련 학과 내에 소속돼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