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어가족보다 힘센 동물은 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사람들은 우리가 무섭다고 하지만, 우리는 사람들이 더 무서워. 상어들이 인간의 어업으로 점점 사라지고 있거든. 우리가 사라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려줄 테니, 친구들이 사람들을 말려 줘! 상어가 줄어들면 산호초도 줄어든다?백상아리와 고래상어, 귀상어 등 앞서 다룬 상어 대부분이 ... ...
- [출동!기자단] 와, 플라스틱이 예술인데? 크리스 조던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플라스틱 오염을 막아야 한다’라는 메시지를 어떻게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을까요? 미국의 사진작가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인 크리스 조던은 이 질문에 ‘예술’이라고 답했어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난 2월 22일, 서울에 있는 성곡미술관에서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친구들이 크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애니메이션, 게임, 굿즈로 20년 이상 사랑을 받아온 포켓몬스터 캐릭터들이 최초로 실사화 돼 스크린에 등장했다. 5월 9일 개봉한 영화 ‘명탐정 피카츄’에는 피카츄를 비롯해 리자몽, 고라파덕, 이상해씨, 잠만보, 개굴닌자, 뮤츠 등 인기 포켓몬들이 대거 출동해 액션을 펼친다. 현실의 수많은 포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997년 처음 개봉한 영화 ‘맨 인 블랙’은 끊임없이 웃음을 터트리게 하는 기상천외한 외계인 캐릭터로 인기를 끌었다. 이들 외계인이 지구인의 모습으로 위장한 채 인간과 섞여 지구에 살고 있다는 설정도 흥행 포인트였다. 무엇보다도 지구를 공격하는 막강한 힘을 가진 외계인이 아니라 무섭지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누군가 사라진 사건 현장에서 과학수사는 더욱 신중해진다. 단순 실종인지 강력 사건인지 알 수 없을뿐더러, 만약 범행을 은폐할 목적으로 깨끗하게 정리된 현장이라면 더욱 어려워진다. 마땅한 증거가 눈에 띄지 않는 현장에서 사라진 이의 상태를 파악하고 보이지 않는 시체를 검시해야 하기 때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최초의 상업용 컴퓨터가 개발된 1940년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오늘날의 전자기기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손 안의 컴퓨터’로 불리는 스마트폰은 2007년 처음 등장한 뒤 일상의 모든 정보를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이제는 또 다른 변화가 우리를 기다리 ...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두 번째는 네덜란드에서 수학상담소를 구독하는 닉네임 '미수년'씨가 보낸 사연인데요, 미술과 수학을 사랑하는 미소년이라며 자기소개를 하셨네요. "네덜란드에 유명한 미술 작품이 많잖아요.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훼손되지 않을까 너무 걱정돼요." 맞습니다.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드게임의 필승 전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보드게임에 수학의 원리가 숨어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보드게임에서 이기려면 상대방과 협력해 점수를 얻을 수도 있고, 예측하지 못한 순간 뒤통수를 치고 상대방의 점수를 뺏을 수도 있어요. 그런데 협력과 배신 중, 과연 무엇이 더 좋은 필승 전략일까요?1980년대, 미국 미시간대학교의 정치학자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6월 5일 개봉하는 영화 ‘엑스맨: 다크 피닉스’는 뇌의 능력이 극대화된 진 그레이가 세상을 파괴하려는 악한 마음을 가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그는 상대방의 뇌 속 정보를 읽어내고 이를 이용해 자신이 원하는 대로 그들의 뇌 기능을 유도하고 행동을 조종한다. 엑스맨으로 성장했지 ... ...
- [수학 THE LOVE] 수학에 지친 그대에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답이 없다.”세계적인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도저히 풀리지 않는 수학 문제를 두고 이렇게 말했다. 오늘날 우리는 이 말을 자조적으로 사용한다. 수학을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어떻게 하면 흥미를 느낄 수 있을지 도통 답이 없다고. 과학동아가 이런 답답한 독자들을 위해 특별한 상담 시간을 마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