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스페셜
"
유전
"(으)로 총 2,083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개념이라 깊은 인상을 남겼기 때문이었을까. 그런데 ‘미국인간
유전
학저널’ 3월 7일자에 박 소장의 ‘예언’이 실현된(개념적으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일부가 현생인류의 것이라고 볼 수 없는 Y염색체를 갖고 있다는 것. 미토콘드리아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급속하게 진행돼 평균 13세에 사망하는 이 병의 원인이 밝혀진 건 2003년으로 LMNA라는
유전
자의 염기 하나가 바뀌면서 비정상 단백질이 만들어진 결과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진들은 제약회사 머크가 과거 항암제로 개발했다가 별 효과가 없어서 포기한 약물인 로나파닙의 작동 메커니즘이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함께 쓴 이 논문은 냉정한 진화론의 관점에서 부모가 자식을 돌보는 건 결국 자신의
유전
자를 더 많이 퍼뜨리기 위함이라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부모가 여유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자식을 돌보는 방식을 달리해야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오늘날 ‘트리버스-윌라드 가설’로 불리는 이들의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안 된다고 주장했다. 진화의 개념을 도입하더라도 결국 진화란 “표현형의 사건”으로 “
유전
자가 아니라 표현형이 선택의 대상”이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봐서는 서로 구분하기도 어려운 고세균은 “표현형의 관점에서는 그냥 세균일 뿐”이라는 것이다.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사이의 엄청난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면역계를 조절하는지는 여전히 잘 모르고 있다. ●사춘기는 장 속 부터 연구자들은
유전
적으로 1형 당뇨병(면역계가 췌장을 파괴해 인슐린을 만들지 못해 발병)에 걸리기 쉬운 쥐를 실험대상으로 삼았다. 이 쥐 암컷은 수컷에 비해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이 2배 이상 높다. 수컷도 거세시키면 발병률이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막을 향하는 안쪽은 줄기영역이라고 부른다. 항체 대다수가 타깃으로 삼는 머리영역은
유전
자 변이가 심한 반면 줄기영역은 변이가 적다. 그런데 최근 줄기영역을 대상으로 한 항체들이 몇 가지 밝혀진 것. 즉 독감에 걸렸던 사람 가운데 소수는 이런 형태의 항체를 형성했고 그 결과 독감에 대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전령RNA의 합성을 방해해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는데, 이를 이용해 숙주에서 바이러스
유전
자의 발현을 연구했다. 1963년 미국국립보건원(NIH)에 자리를 잡은 샛킨은 여러 인간바이러스를 연구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레오바이러스였다. 1968년 로슈연구소로 자리를 옮긴 샛킨은 레오바이러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네이처’ 9월 6일자, ‘사이언스’ 9월 7일자) 그동안 쓰레기 DNA라고 치부했던,
유전
자와 관련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게놈의 90% 이상을 차지)의 대부분이 나름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놈 전체를 봐야한다는 브리튼의 혜안이 빛을 발하고 있다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성공한 리보솜RNA
유전
자의 전사 장면이 장식했다. 분자생물학 기법이 미비했던 당시
유전
자의 크기나 배열, 발현에 대해서는 막연히 추측할 뿐이었는데 이 사진 한 장으로 많은 사실이 드러났다. 이 사진은 그 뒤 생명과학 교과서에 단골로 등장하면서 유명해졌다. 그 뒤 밀러는 이 기법을 써서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되지만, 사람의
유전
자는 2만개 조금 넘는다는 것만 봐도 그렇다. 연구자들은 현재 빵밀
유전
자의 3분의 2 정도만 그 뿌리를 찾아놓은 상태다(A타입인지 B타입인지 D타입인지). 밀 게놈 완전 해독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인류는 병과 식물들을 작물화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정착했고 문명을 꽃피웠다.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