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작동"(으)로 총 3,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2019.06.13
- 그렇다면 이 값은 양자역학이 변하지 않는 한, 즉 양자역학이 우리 우주의 기본 원리로 작동하는 한 변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이 값은 우주 어디에서라도 똑같다.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에 사는 외계인에게도 우주 저 끝 반대편에 있을지도 모를 외계인에게도, 그리고 토르나 타노스에게도 이 ... ...
- 정전기에서 전기 얻는 나노발전기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정전기에서 전기를 얻는 나노발전기가 개발됐다.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이용해 작동하는 신개념 전자기기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송현철 전자재료연구단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정전기를 이용해 실제 전자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 ...
- 구글보다 뛰어난 한국어 특화 AI 언어모델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것이다. 배용진 ETRI 언어지능연구그룹 연구원(왼쪽)과 임준호 선임연구원이 코버트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 ETRI 연구팀은 코버트를 AI비서나 질의응답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현기 ETRI 언어지능연구그룹 책임연구원은 “한국어에 최적화된 언어모델을 통해 ... ...
- AI 이용해 단기기억의 내부 작용 밝혀내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만난 사람을 기억해낼 수 있다. 미국 연구진이 인공지능(AI)를 이용해 단기 기억의 작동과정을 밝혀냈다. 데이비드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 신경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단기 기억이 업무의 복잡성에 따라 다른 뇌 회로를 사용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0일자에 ... ...
- 전자제품 고장 원인 54% 발열 줄이는 새 냉각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6.10
- 액체를 사방으로 밀어내면서 냉각이 이뤄진다. 연구팀은 “압력에 의한 이동이기 때문에 작동 방향의 변화와 관계없이 냉각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전자제품 및 전자 장비 뿐 아니라 방열 및 냉각을 해야하는 많은 산업 분야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48개로 알고 지낸건, 최초 발견자의 잘못도, 연구공동체의 잘못도 아니다. 그건 과학이 작동하는 방식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건일 뿐이다. 식민지에서 차별, 그리고 매카시즘까지 미국 국립보건원에 합류해 연구할 당시의 조 힌 치오. NIH 1956년 논문의 제1저자 치오는, 1919년 인도네시아 ...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동아사이언스 l2019.06.05
- 별로 다를 게 없어 보일 수 있다”며 “하지만 그런 메뉴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또는 작동원리를 만드는 도시는 이제껏 없었다. 이번에 개발하는 시범도시는 철저히 플랫폼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기술보다는 ‘모빌리티 3분의 1로 줄인다’ ‘미세먼지 20분의 1로 줄인다’ ... ...
- 담배회사의 아이러니, 그들은 왜 7조원을 건강 연구에 투자했나동아사이언스 l2019.06.04
- 궐련형 전자담배가 덜 유해하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치였다. 장비가 잘 작동하지 않는가 싶더니 이내 유리로 만들어진 시험관 속에서 2개의 사뭇 다른 연기가 피어올랐다. 한쪽은 일반담배가 연소한 연기이고 다른 한쪽은 아이코스가 담뱃잎을 가열하면서 찔 때 나오는 연기다. 당연히 ... ...
-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에 박보연 연세대 교수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9.06.04
- 시스템생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면역을 일으키는 새로운 면역 조절 단백질의 작동 과정을 밝히고, 만성감염 바이러스가 인체의 면역을 회피하도록 하는 단백질을 발굴하고 있다. 면역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암이나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할 신약의 표적 단백질을 발굴할 때, 그리고 ... ...
- 염색체가 ‘스토커 단백질’ 만나면 암 걸린다동아사이언스 l2019.06.03
- 심하다. 염색체 속 DNA와 결합해 복제를 조절하는 단백질이 ‘스토커 단백질’로 작동해 떨어지지 않는 게 문제였다. 강석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 연구위원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하진 교수팀은 염색체 내에서 복제가 끝날 때 관여하는 단백질의 정체를 밝히고 결합과 분리를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