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5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연구진은 개미가 많이 투입될수록 효율이 떨어진다는 걸 발견했다. 직장에서 이
원리
를 적용할지는 각자(혹은 상사)의 선택에 달렸다. 왼쪽은 호모 사피엔스, 오른쪽은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의 모습. -위키미디아 커먼스/마이크 백스터 제공 ④우리 몸엔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 인류의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나홀로 성탄절, 파티를 시작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22
영화관을 보며 미니 프로젝터를 떠올렸나요? 소규모 파티의 필수품, 미니 프로젝터의
원리
를 소개해요! 미니 프로젝터. LG전자(F) 컴퓨터 화면을 크게 확대해 하얀 스크린에 비추는 ‘프로젝터’를 본 적 있나요? 학교 수업에서 많이 쓰이지요. 요즘엔 무게가 0.5kg도 안 되는 ‘미니 프로젝터’가 ... ...
크리스마스를 솔로로 보내기 싫다면 ‘AI연인’어떠세요
과학동아
l
2018.12.22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 기법을 이용해 글을 분석, 사진의 의미를 추출하는
원리
입니다. 같은 장소라도 시간대나 방문 목적, 분위기별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장소 추천이 가능합니다. 이 기술이 활용되면 AI 연인이 데이트 코스도 내 취향에 맞게 짤 수 있을 ... ...
33만명의 '동심'에 과학을 심었다…개관 1년 맞은 국립어린이과학관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기계적 요소를 따라 낮은 곳으로 내려가면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는 과학
원리
를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됐다. ‘쥬스야 변해라 얍!’ ‘도와줘요 자석맨’ ‘나는야 동물박사’ 등 다양한 주제로 과학실험을 하는 그룹 체험 프로그램인 ‘사이언스 랩’ 역시 많은 어린이들의 사랑을 ... ...
개미떼처럼 스스로 무리를 이루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만들어 건너는 개미가 대표적인 사례다. 동물들은 누군가의 통제 없이도 몇 가지 행동
원리
로 동료와 상호작용하고 무리를 만든다. 2014년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은 1024대로 구성된 군집로봇 ‘킬로봇’이 다른 로봇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별 모양의 군집 구조를 이루는 실험을 진행했다. ... ...
뇌출혈 없는 안전한 뇌 조직검사용 바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조직에 근적외선을 쏘아 반사된 빛 세기를 여러 각도에서 측정해 구조를 파악하는
원리
다. 적외선은 파장이 길어 빛이 깊이 침투하지 못해 최대 1.5㎜ 깊이까지만 들여다볼 수 있었다. 그러나 뇌 속 수㎝ 깊이로 들어간 바늘 끝에서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연구진이 개발한 검사 바늘로 뇌를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발열내의 입어도 추운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상태로 만든다. 이 때 운동 에너지가 전환되어 열로 발생하는 것이 흡습발열 섬유의
원리
다. 사실 흡습발열 섬유는 새롭게 개발된 특수 섬유가 아니다. 목화에서 얻는 면이나,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 아무 옷 성분표에서나 볼 수 있는 섬유도 흡습발열을 일으킨다. 반면 광발열섬유는 ... ...
메뚜기 점프
원리
규명·아이언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광섬유를 통과하면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유령같은 원격작용으로 불렀던 '양자얽힘'
원리
를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이 기술은 정보가 중간에 새어나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군 통신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미 육군연구소도 양자얽힘을 이용해 정보가 ... ...
폭염속 어린이 차량방치 사고 막을 똑똑한 방석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이상 차량과 멀어지면 스마트폰과의 블루투스 연결이 끊기면서 경보가 작동하는
원리
다. 생기연은 “다른 장치들과 달리 별도 설치 작업이 필요 없고 좌석에 갖다놓으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며 “운전자나 교사가 어린이 하차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둘러보거나 몸을 움직일 필요가 없다는 ... ...
‘꽃잎 지는
원리
’‘기억의 장소’규명…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올해의 생명과학 연구 뇌에서 기억이 저장되는 곳을 밝힌 연구와 꽃잎이 떨어지는
원리
를 찾은 연구가 올해 국내 의생명 분야 종사자들이 뽑은 최고 연구로 선정됐다.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브릭)는 의생명과학 분야 연구자 1295명을 대상으로 올해 생명과학 분야의 최고 연구성과를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