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빛 본 'mRNA'...암 백신으로 다시 인류에 기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특히 mRNA 설계는 상대적으로 쉽고 빠른 속도로 할 수 있다. 환자마다 다른 암
세포
단백질에 적합한 mRNA 암 백신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의미다. 2~3개월이면 암 환자 맞춤형 암 백신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암 외에도 mRNA는 다양한 질병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백신 개발이 비교적 ... ...
유전자 교정 mRNA 넣어 망막 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mRNA도 전달할 수 있다. 연구팀은 지질나노입자가 눈 뒤쪽에 위치한 조직인 망막 광수용체
세포
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생쥐와 영장류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현재 동물 망막 모델에서 얼마나 많은 나노입자가 광수용체에 도달하는지를 정량화하는 후속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라이얼스 ... ...
근위축증·수면병 치료제…올해 주목할 임상시험 11개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에 대한 검증도 관심을 받는다. 전립선특이항원은 전립선 상피
세포
에서 효소로 전립선 이외의 조직에서는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전립선암을 선별하는 표지로 사용되지만 종종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저위험 암까지 감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핀란드 탐페레대 연구팀이 201 ... ...
실시간 뇌 혈류 측정기술 나왔다..."운동 중에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역할을 한다. 뇌 혈류에 문제가 생겨 뇌에 적절히 혈액이 공급되지 않으면 신경
세포
가 사멸하고 뇌졸중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진다. 뇌 혈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단기술은 MRI다. 고해상도 이미지를 제공하지만 영상을 얻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검사 대상이 움직이면 ... ...
[과기원은 지금] UNIST, 류마티스 관절염 '뼈 녹이는
세포
' 겨냥한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형성에 중요한 인자로 알려진 NFATC1 유전자 가까이에 슈퍼인핸서가 형성되고 이것이 파골
세포
에서만 형성된다고 확인했다. NFATC1 슈퍼인핸서 RNA가 치료 표적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박성호 교수는 “이 연구 결과가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법 개발에 큰 진전이 될 것”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예를 들어 당분은 많은데 질소 같은 다른 영양 성분은 부족하면 증식이 어려우므로 대신
세포
내에 PHA를 많이 저장해 훗날을 도모한다. 실험 결과 질소와 탄소의 공급비가 1:100일 때 PHA를 가장 많이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HA의 합성과 분해에 관여하는 유전자 네트워크를 건드려 합성 관련 ... ...
암
세포
와 싸우는 'NK
세포
' 작용 조절하는 새 면역관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새롭게 발견된 면역관문 'NgR1'이 NK
세포
의 살상력을 억제하는 기전의 모식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분자·
세포
학적 메커니즘을 최초로 제시했다”고 밝혔다. 곽민석 교수는 “비정상
세포
신호 전달에 의한 암 관련 연구와 아밀로이드베타 형성 억제를 통한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코로나 항바이러스 치료제, 오미크론 하위 변이에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변이를 억제하는지 확인했다.
세포
에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치료제를 농도별로 처리해
세포
내 바이러스 증식이 50% 이상 억제되는 약물 농도(IC50)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초기주를 억제하는 약물 농도를 기준으로 새로운 변이를 억제하는 데 필요한 약물 농도를 확인했다. 분석 ... ...
해양바이오 소재로 활용 가능한 와편모조류 신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이름을 확정했다. 시구아톡신은 와편모조류가 생산하는 신경독의 한 종류로 신경
세포
활성화와 경련을 유발하며 인간이 섭취하면 설사, 메스꺼움, 구토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른다고 알려져 있다. 예소톡신은 1986년 일본 가리비의 소화샘에서 처음 발견된 독소로, 독이 든 패류를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