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총알의 크기를 엄청나게 줄인 게 전자라고 생각하면 당연한 결과다. 그런데 틈을
둘
다 열고 전자총을 쏘면 보고도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다. 마치 수면파일 때 같은 간섭패턴이 스크린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자가 분포하는 밀도(확률)는 파동의 간섭으로 인한 진폭의 제곱에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DA14는 소행성 가운데 아주 작은 것에 속한다. 대체로 크기로 유성체와 소행성을 나누는데
둘
은 그 경계에 위치하는 셈. 다만 관측돼 궤도가 예측된 천체라면 지름이 17m 정도라도 소행성이라고 부른다. 태양계에는 지름이 1km보다 큰 소행성만 100만 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소행성은 화성과 목성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줄어든다는 것. 하젠욀은 원통의 흑체복사를, 아인슈타인은 점입자의 복사를 가정했고
둘
다 빛을 내는 대상과 관찰자(또는 좌표)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상정했다. 다만 해석에서 하젠욀은 고전역학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했고(빛의 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지 않았다), 아인슈타인은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4종의 16S 리보솜RNA 염기서열을 다른 박테리아나 동식물의 해당 서열과 비교한 결과
둘
어디에도 속하지 않을 만큼 뚜렷한 차이를 보였던 것이다. 당시 지식으로는 당연히 다른 박테리아 무리에 함께 묶여야 했다. 이에 깜짝 놀란 우즈 교수는 메탄생성 박테리아에 대한 연구논문을 뒤지기 시작했고,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내렸기 때문이다. ●각종 대사 질환에 관여 ‘네이처’와 ‘사이언스’에는 요즘 매주
둘
중 하나 꼴로 장내미생물 관련 논문이 실리고 있는데 연구 스펙트럼이 상당히 넓다. 질병에 관련된 것만 몇 개 소개해보면 새끼일 때 항생제를 투여하면 장내미생물상(gut microbiota)이 바뀌고 비만에도 영향을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968년에는 홍콩독감 대유행을 일으킨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도 해독해
둘
사이에 돌연변이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1990년대 들어 마침내 피어스 교수팀은 독감 바이러스의 게놈에서 범용독감백신의 표적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냈다. 바로 M2라는 이온통로단백질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당시까지 구조가 밝혀진 단백질은 미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
둘
뿐이었다. 1965년 마침내 라이소자임의 구조가 규명됐는데 단백질로는 세 번째, 효소로는 처음이었다. 당시 존슨은 라이소자임의 기질(효소가 인식하는 대상)인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구조를 밝혀 연구를 ... ...
공대에서 경제학을 論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10달러를
둘
로 나눌 때 한 사람이 나누고 다른 사람이
둘
중 하나를 고르게 하면 공평한 게임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고르는 사람이 많은 금액을 가져가려고 할 테니까 나누는 사람이 똑같이 나누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그는 “게임의 규칙에 따른 사람들의 실제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제한군 원숭이(왼쪽)와 대조군 원숭이(오른쪽)의 모습에서 노화 차이를 가늠하기 어렵다.
둘
다 27살이다. - NIA 제공 사실 장수 유전자에 관련된 논란은 임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별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 칼로리 제한으로 수명이 늘어나는 게 중요하지 여기에 SIRT1 유전자가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말의 23번과 24번 염색체가 됐음이 밝혀졌다(그 반대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둘
의 염색체는 전반적으로 구조가 유지돼 있다. 따라서 생식세포를 만드는 감수분열에서 염색체 쌍이 배열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1974년 학술지 ‘세포유전학’에 발표된 한 논문을 보면 감수분열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공지사항